“녹색성장·기후변화협상! 동반성장 해법은”
“녹색성장·기후변화협상! 동반성장 해법은”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1.09.06 10:1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경제硏, 개원 25주년 국제 컨퍼런스 개최
국내외 전문가 초빙…주제별 3개 세션으로 꾸며져

[에너지타임즈 김진철 기자] 에너지경제연구원이 개원 25주년을 맞아 녹색성장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기후변화협상을 진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은 마련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김진우)은 개원 25주년을 맞아 ‘녹색성장과 기후변화협상의 현재와 미래(Green Growth Climate Change Negotiations : Now and Future)’란 주제로 6일 르네상스호텔(서울시 강남구 소재)에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국내외 전문가들을 초빙, 녹색성장과 기후변화협상의 현재를 조망하는 동시에 국제협력을 비롯해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견해차 해소를 통해 녹색성장을 확산시키고 기후변화협상을 진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장으로 진행됐다.

이날 김진우 원장은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전 세계적인 녹색성장 움직임이 더욱 효과적으로 확산되기 위해 국제 기후변화협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이번 국제 컨퍼런스를 마련하게 됐다”면서 “이 행사를 통해 녹색성장과 기후변화협상의 현재를 조망하고 국제협력과 선진국-개도국 간 견해차 해소를 통한 녹색성장의 확산과 기후변화협상의 진전방안을 건설적으로 토의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는 ▲기후변화협상에서의 녹색성장 ▲녹색성장을 위한 국제 에너지 협력 ▲녹색성장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행동 촉진 등을 주제로 한 총 3개 세션으로 꾸며진다.


“아시아국가 연합체 구성해야”

데니스 터팩(Dennis Tirpak) 미국 WRI(World Resources Institute) 선임연구위원은 녹색성장에 대해 다양한 정의가 공존하고 있다면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 저탄소개발전략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녹색성장을 두고 지속가능발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발전의 일부로 환경보호가 동반되는 혁신과 투자를 촉진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터팩 선임연구위원은 녹색성장을 추구하는 국가들의 연합체 구성을 비롯해 녹색성장의 의미와 구체화 방안에 대한 공통의 이해증진 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연합체가 아시아에서 실현되기 위해 고려돼야 할 과제로 터팩 선임연구위원은 ▲국가별 실정을 고려한 고통의 녹색성장 정의 마련 ▲녹색성장 추진비용으로 인한 국가 경쟁력 변화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역량 및 재원의 한계 ▲녹색성장을 위한 정책적 변화의 어려움 등을 제시했다.


녹색성장, 당사국총회서 확산될 것

손성환 기후변화대사는 녹색성장을 새로운 경제성장 패러다임으로 경제·생태학적이고 식량과 에너지 안보 위기에 대한 통합적인 대응전략으로 정의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에너지수요가 오는 2030년까지 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에 저탄소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 결정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손 대사는 우리나라의 녹색성장을 국제 기후변화협상 등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료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등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기후변화협력을 주도하고 있음을 소개했다.

이어 그는 칸쿤합의는 이런 국제적 의지를 보여준 신호라고 단언한 뒤 올해 말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제17차 당사국총회와 유엔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는 국제적으로 녹색성장 전략을 확산하고 추진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멕시코 감축잠재량대비 50% 달성 전망

프란시스코 바르네스(Francisco Barnes) 멕시코 NIE(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원장은 멕시코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인 LECRDS(Low Emission and 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Strategies)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그는 이 전략에 대해 배출감축과 경제성장, 기후취약성 감소·적응·저감 시나리오의 경제적 분석 등 세 분야로 나눠져 있고 기후변화·빈곤퇴치·녹색성장 등 다양한 관련 분야의 계획들이 함께 고려돼 있다고 소개했다.

바르네스 원장은 멕시코의 경우 모든 경제 분야에 걸쳐 131개 감축수단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최대 2억6100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잠재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로는 2020년까지 잠재량의 50%인 1억30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기구, 분위기 주도 등 도움 줄 것

존 크리스텐센(John Christensen)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Risoe Centre 소장은 대부분 국제기구들의 포트폴리오가 재생에너지이용(RE)과 에너지효율성향상(EE) 등으로 전환됨에 따라 국제기구들의 저탄소화 활동의 중복과 복제가 우려됨을 지적했다.

그러나 크리스텐센 소장은 이미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국제에너지기구)와 IRENA(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국제재생에너지기구),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국제원자력기구) 등이 정책분석·권고·연구 등을 맡는 등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협력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국제기구들은 정책분석과 권고를 통해 저탄소화를 위한 분위기를 만들고 재원마련을 용이하게 하는 등 청정에너지옵션을 확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임무를 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개도국 “선진국의 지속적인 지원 절실”

마리아마 윌리엄스(Mariama Williams) South Centre 선임연구위원은 개발도상국의 저탄소 개발전략 등을 소개하면서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해 소개했다.

윌리엄스 선임연구위원은 개발도상국의 저탄소 개발전략은 단순한 정책이 아닌 국가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경제·정치적 요소들이 수반돼야 한다면서 이 전략을 도입하는 개발도상국들은 자금과 국내 제도 건립, 기술적 전문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선진국의 금전·기술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기후변화협상은 개도국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저탄소 개발전략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선진국의 장기적인 재정지원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돌파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