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예상 평균유가는 74불/b… 원인은 수요 증가”
“올해 예상 평균유가는 74불/b… 원인은 수요 증가”
  • 윤병효 기자
  • ybh15@energytimes.kr
  • 승인 2010.01.22 16: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문배 에경연 연구원, 하반기 경기회복 따른 유가상승 예상
달러·다우지수·지정학적 요인의 유가변동 영향력 줄어들 것

전체 에너지원 중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석유. 경기침체가 세계 곳곳을 휘감은 이때에 올해 국제유가의 향방은 중요 관심사항이 아닐 수 없다.

이문배<사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올해 두바이유 가격이 지난해 대비 21% 상승한 배럴당 74.5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하반기의 수요증가를 근거로 들었다.

단, 6가지 변수가 있다고 전제했는데 그것들은 석유수요, 달러가치 변동, 미국 주식시장과 연관성, OPEC 증산, 미 정부의 파생상품 규제정책, 석유 지정학적 요인이다.

이 변수들이 유가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올해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 지 직접 들어봤다.


-6가지 변수 중 석유수요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는가.
올해 가장 큰 화두는 세계 경기 회복이다. 국제유가는 지난해 초 배럴당 30달러에서 현재 80달러까지 2배 이상 올랐는데 수요가 늘어나 오른 게 아니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치와 이에 따른 투기자금이 몰린 까닭이다. 지난해 전 세계 석유소비는 8400만b/d으로 2008년 대비 200만b/d이 줄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올해 130만b/d이 늘 것으로 예상했지만 에경연에서는 150만b/d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150만b/d 중 중국과 인도 등 이머징마켓의 비중이 80~90% 차지할 것이다. 5·6월 이후 세계 경제에 더블딥만 오지 않으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최근까지 달러가치와 유가 변동이 심했는데 앞으로 어떻게 보는가.
▲달러가치가 10% 하락하면 유가는 배럴당 11달러 가량 상승한다. 지난해 유가가 오른 것의 절반 이상은 달러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생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배럴당 80달러 중 20달러가 달러가치 하락으로 인해 올랐다는 뜻이다. 미국 경제가 긍정적으로 개선되면 달러가치의 큰 하락이 없을 것이다. 때문에 달러가치의 변동으로 인한 유가 변동도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주식시장에 따른 원유가격의 변동은.
▲세계적으로 미국 시장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미 주가지수와 유가가 많이 연동됐다. 하지만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우지수가 1만 선 아래에 있을 때의 일이고, 1만 선을 넘으니까 연동성이 떨어졌다. 투자의 다양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올해는 유동자금이 언제 회수될 것이냐 측면에서 볼 때 연관성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OPEC의 생산량은 어떨 것으로 보는가.
▲OPEC는 현 유가수준(배럴당 80달러 대)에 만족하고 있다. 지난해 산유국들은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으면 경기에 악영향을 줘 결국 자기들한테도 좋지 않다는 경험을 배웠다. 이들은 현재 유가가 과도하게 오를 경우 수급을 조절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충분히 있다. 수요증가로 인해 유가가 적정 수준을 넘어 가면 커트할 것이다.

-투기자금이 많은 유가상승을 부추겼는데 올해 향방은.
▲유가가 오르기 시작한 2007년부터 원유시장에 많은 투기자금이 들어오면서 수급요인에 상관없이 상승세를 부추겼다. 이는 유가 변동성 예측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며, 세계 경제에도 안 좋다. 현재 이를 바로잡을 수 있는 규제들이 검토되고 있으며, 올해 열리는 G20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알고 있다. 투기자금 유입을 잡느냐 못 잡느냐는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정학적 요인은 어떻게 보는가.
▲현재 특별한 요인은 없다. 다만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변동성이 크다는 면에서 볼 때 이란과 나이지리아 문제가 변수가 될 수 있다. 또한 미국에 많은 원유를 판매하고 있는 베네수엘라의 차베스 대통령이 남미지역에서 정치적 선동을 하고 있는 것도 변수가 될 수 있다.

-결국 직접적 요인은 석유수요 변화인 것 같은데.
▲그렇다. 현재 국제유가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크게 수급과 금융요인이 있는데, 수요는 말한 대로 하반기부터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고, 금융요인은 연관성이 줄어들 것이다.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세는 2011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