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한 전력망 확충 불가피…대전환 본궤도 올라
답답한 전력망 확충 불가피…대전환 본궤도 올라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4.01.03 14:0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력망 확충 특별법으로 국가 주도 전력망 건설 현실화 추진
첨단산업 특화단지 전력공급…효율적 전력망 운영 방점 찍어

【에너지타임즈】 2024년 갑진(甲辰)년 새해엔 전력망 대전환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력망이 제때 건설되지 못함에 따른 문제를 정부가 직접 해결할 수 있는 원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원전과 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확대와 첨단산업 육성, 전기화 등으로 전력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전력망 적기 확충이 불가피해진 가운데 지난해 전력망 대전환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지난달 발표된 전력계통 혁신대책과 첨단산업 전력공급계획이 그것이다.

올해 정부는 이와 관련된 행보를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옥헌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전력계통 혁신을 위해 올해도 전력망 확충을 위한 법‧제도개선과 동해안 송전선로 본격 건설 등을 착실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전이 드론을 이용해 송전선로를 점검하고 있다.
한전이 드론을 이용해 송전선로를 점검하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달 4일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전력계통 혁신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으로 국가 핵심 전력망을 신속하게 확충할 수 있도록 국가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전력망 혼잡지역 발전사업허가 속도 조절, 수요-공급 시설 분산,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영시스템 구축 등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전력망 확충 특별법이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법이 제정되면 전력망 건설체계는 한전 단독에서 국가 차원의 지원체계로 전환된다.

이 법은 한전 단독 건설에 따른 전력망 기피 현상에 따른 지자체와 지역주민 반대에 부딪히면서 전력망 건설이 지연되자 국가 주도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확충에 따른 전력망 수요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 이유다.

이 법이 제정되면 전력망 확충은 국가 지원체계로 전환되고, 정부는 전력망 확충을 위한 범부처 전력망위원회를 신설해 운영하는 한편 인허가 특례 확대와 차별화된 보상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된다. 국가 전력망 건설이 속도를 낼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부터 국가 주도 고속도로 건설이 우리나라를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시킨 것처럼 국가 주도 전력망 건설은 청정에너지 확대를 뒷받침하는 한편 전기화 시대 첨단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구체적인 정부 목표를 살펴보면 먼저 산업부는 전력계통 보강이 불가피한 가운데 핵심 전력망 건설 기간을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통해 한전 단독 건설 방식에서 벗어나 국가 차원의 지원체제로 전환하는 한편 주민 수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개선,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과 공동건설 등으로 건설 기간은 345kV 송전선로 기준으로 13년에서 3.7년 줄인 9.3년으로 줄어든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전력계통 중심의 발전허가와 접속, 수요시설 전력계통 영향 분석, 기존 전력망 활용 극대화 등 송전선로 건설 규모를 10% 줄이기로 했다.

2036년까지 전력수요가 23%, 전력공급이 72%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분산편익 10%를 통해 기존에 전망됐던 63%를 56%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반면에 정부는 모든 발전원에 전력망 책임을 부여하는 한편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유연성 자원 확보와 중장기 전력계통 운영 전망 등을 통해 전력계통 유연성을 2배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산업부는 포화 변전소 발전 진입 속도 조절과 전력망 특별관리지역 대상 시간대별 유연한 접속 등의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전력망 포화에 따른 대응을 위한 질서를 확립하는 한편 실사용자 이용을 위한 알박기 사업자 관리와 기존 전력망 용량 확대 등을 위한 전력망 이용 효율화를 추진한다.

특히 산업부는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 선로는 동해안에 있는 원전과 석탄발전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현재 이 지역에서 출력제한문제가 이미 불거져 있는 상황이다.

이 송전선로 건설은 2008년 계획이 수립됐으나 공사에 대한 진척이 없었고 2016년 직류송전으로 수정된 바 있다. 2022년부터 인허가 승인을 거쳐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준공 목표는 2026년이다.

첨단산업 특화단지 전력공급과 관련 정부는 효율적인 전력망 운영을 통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발전소 건설도 건설이지만 전력망을 보강함으로써 최대한 효율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현재 7개 첨단산업 특화단지 수요에 따른 전력공급 필요량은 15GW 이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용인의 경우 10GW 이상 공급을 위한 대규모 설비 신설 등 특단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산업부는 용인 첨단산업 특화단지에 대한 전력공급계획으로 전력수요-전력공급 근접 유도와 청정에너지 활용, 전력망 적기건설 총력 등을 지난달 확정한 바 있다. 전력망 확충에 13년이란 장기간 소요가 예상됨에 따라 초기수요인 3GW는 발전소 건설, 후기수요인 7GW는 장거리 송전선로로 원거리 발전소를 활용해 충당하는 것으로 방향이 정해졌다.

당장 전력망 보강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자급자족할 수 있는 기반을 닦은 뒤 전력망이 보강되면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먼저 산업부는 2030년부터 2036년까지 3GW에 달하는 전력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발전공기업의 노후 석탄발전 대체 가스복합발전 6기를 용인 첨단산업 특화단지에 건설하기로 했다.

동서발전은 2030년 준공, 남부발전은 2031년, 서부발전은 2032년 준공을 목표로 용인 첨단산업 특화단지에 1GW씩 가스복합발전을 건설할 계획이다.

또 산업부는 여건이 조성되면 수소터빈 상용화와 수소 배관 등 청정수소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또 산업부는 2037년까지 7GW에 달하는 전력수요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국가 전력고속도로를 신설한다. 영동권과 용인을 잇는 송전선로로 원전에서 생산한 전력11.5GW, 호남권과 용인을 잇는 송전선로로 재생에너지에서 생산한 56.8GW를 각각 공급받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산업부는 포항‧구미‧새만금 전력공급계획과 관련 신규 발전소 건설이 불필요할 것으로 보고 2025년부터 2031년까지 변전소 조기 준공 등으로 계획변경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력계통 혁신대책.
전력계통 혁신대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