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활성화 방점…정부 구체적인 목표치 제시
수소경제 활성화 방점…정부 구체적인 목표치 제시
  • 신미혜 기자
  • ssr7@energytimes.kr
  • 승인 2023.12.18 20: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정수소 인증 기준 수소 kg당 온실가스 배출량 4kg 이하로 정해져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 대와 수소충전소 660기로 확대 목표 설정
수소 예산 17배 증액…2030년까지 국산화율 80%까지 끌어올리기로
18일 롯데호텔(서울 중구 소재)에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가 열렸다. / 사진=뉴시스
18일 롯데호텔(서울 중구 소재)에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가 열렸다. / 사진=뉴시스

【에너지타임즈】 지난 9월 윤석열 대통령이 CF연합을 제안하는 등 정부가 수소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수소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인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과 구체적인 목표치가 공개됐다.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는 18일 롯데호텔(서울 중구 소재)에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 ▲수소산업 소재·부품·장비 육성 전략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방안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 등 모두 4개 안건을 상정해 논의했다.

먼저 수소를 생산‧수입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인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이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수소 kg당 온실가스 배출량 4kg 이하로 설정하는 내용의 청정수소 인증 기준과 함께 인증 절차, 인증 추진 체계 등이 공개됐다. 이와 함께 해외자원개발 융자사업 지원대상 내 청정수소가 추가되고 수소 핵심기술 최대 50% 세액공제 등 청정수소 인증제 연계 지원방안도 마련됐다.

산업부 측은 청정수소 기준이 제시됨에 따라 내년에 개설될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등 연관 제도의 차질 없는 시행을 뒷받침할 것으로 내다보면서 기업의 청정수소 관련 투자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치도 공개됐다.

지난달 기준 수소차는 3만4217대 수소충전소는 274대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를 현재보다 10배 수준인 30만 대, 수소충전소를 660기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상용차 중심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시내버스‧시외버스‧광역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기로 하고 이를 통해 지난달 582대인 수소버스를 내년 2700대, 2030년 2만1200대로 각각 늘려나가기로 했다. 또 현재 보급이 안 된 액화수소충전소도 내년에 40곳, 2030년까지 280곳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라 정부는 주요 교통거점에 수소교통복합기지를 확대하고 수소차 편의·안전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셀프 충전 허용과 새벽·야간 운영시간 조정, 야간 충전요금 인하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수소와 관련된 국산화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관련 예산이 17배나 늘어나고 정부는 2030년 국산화율을 8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정부는 수전해 기술별 중점연구실을 구축하는 한편 중점연구실 중심으로 MW급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위한 기초·원천 연구를 수행하고 기술 신뢰도 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지원 등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측은 이달 중으로 알카라인‧고분자전해질막 분야 중점연구실 구성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에 중점연구실별 수요기업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며, 이러한 운영방안을 통해 국가 수소 R&D 역량 결집과 MW급 대용량 수전해 국산 기술 확보, 청정수소 경제성 확보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산업부는 수소 소재‧부품‧장비 육성을 위해 수전해와 액체수소 운반선, 수소터빈 등 수소 산업 10대 분야 40대 핵심 품목을 도출하고 원천기술 확보와 사업화 촉진, 공급망 강화 등을 지원한다.

특히 수소·연료전지 분야 R&D 신규사업 예산은 올해 28억2000만 원에서 내년 477억8000만 원까지 늘어난다.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월 UN총회에서 CF(Carbon Free)연합을 제안하는 등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글로벌 무탄소 생태계 확산을 위한 핵심 에너지원이라고 소개하면서 정부도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 경제를 선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수소 경제 중장기 정책 수립과 국가전략기술 지정 세제지원 확대, 청정수소 인증제 기반 마련 등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 시장에 수소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한편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에 힘을 쓸 것이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