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 결의 탄광노동자…데드라인 3월 3일 제시
총파업 결의 탄광노동자…데드라인 3월 3일 제시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2.02.26 16: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존권 보장 위한 폐광대책비용 현실화와 고용보장 대책 제시 요구
政 요구사항 답하지 않으면 입갱투쟁까지 불사하며 결사 투쟁 엄포
논란 폐광지역으로 번져 사회적 문제로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 못해
10일 석탄공사 본사(강원 원주시 소재) 앞에 걸린 정부의 석탄 감산 정책을 규탄하는 플랜카드.
10일 석탄공사 본사(강원 원주시 소재) 앞에 걸린 정부의 석탄 감산 정책을 규탄하는 플랜카드.

【에너지타임즈】 생존권과 생명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는 등 갈 곳이 막막한 탄광노동자가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면서 제대로 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입갱 투쟁을 포함한 죽음을 불사하는 투쟁에 나설 것이란 엄포를 놨다. 이들에게 이 문제는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지난 25일 발표한 대한석탄공사노동조합 성명서에 따르면 입갱 투쟁 등 총파업을 결의한 탄광노동자는 오는 3월 3일까지 생존권 보장을 위한 폐광대책비용 현실화와 고용보장 대책을 정부에 요구했고, 정부가 답을 하지 않는다면 입갱 투쟁까지 불사하며 결사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석탄공사는 1987년 정부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에 따라 생산량을 줄여야만 했고, 이 정책은 석탄산업 이해 부족으로 일방적이고 살인적인 인력 감축으로 이어졌다고 탄광노동자는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줄어든 인력만큼 노동강도는 심해졌고, 생명까지 위협당하는 상황까지 이어졌으나 탄광이 일터이자 집이어서 모든 희생을 감내하면서 버텨온 결과 정부의 무관심과 냉대뿐이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이들은 탄광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감산과 감원으로 탄광 안전에 구멍이 났고, 2019년 탄광노동자가 생명을 잃는 참사가 발생하는 등 결국 안전이 무너져 생명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긴박한 상황을 설명했다.

특히 탄광노동자들은 정부를 상대로 안전과 생존권 보장을 요구했으나 정부는 안전과 관련된 인력 20명 충원과 노사정위원회를 열어 생존권 보장 대책을 논의하자고 했으나 20차례에 걸친 노사정위원회 회의 결과 후속대책 없이 일방적인 생산량 한도만을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국가가 어려울 때 우리를 산업 전사라고 부르더니 이제 와 아무런 대책 없이 삶의 터전을 떠나라는 정부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어 총파업을 결정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석탄산업 기능 종료를 통보한 정부에 탄광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위해 폐광대책비용을 현실화하고 고용보장 대책을 오는 3월 3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에 답을 요구했다.

그리고 이들은 정부가 생존권 보장을 위한 요구사항에 답하지 않는다면 입갱 투쟁까지 불사하며 결사 투쟁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정부 실무자와 탄광노동자가 물밑 접촉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탄광노동자가 제시한 기한 내 정부가 대책을 내놓지 못한다면 이 문제는 폐광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 문제로 불거질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편 석탄공사노조는 정부의 일방적인 석탄 감산 철폐와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총파업 찬반투표를 지난 10일 진행했다. 그 결과 노조원 669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96%인 645명이 찬성표를 던지면서 총파업이 가결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