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 도약 본격화
한국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 도약 본격화
  • 정연진 기자
  • pressj@energytimes.kr
  • 승인 2010.11.19 18:3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까지 9조2000억 투입, 2.5GW 해상단지 조성
2019년까지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총 2.5GW의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된다.

지경부는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총 9조2000억원을 투자,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내용의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이달 초에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라 2013년까지 부안?영광지역 해상에 100MW(5MW급 20기) 국산 해상풍력발전기 실증단지가 조성되며, 2016년까지 900MW(5MW급 180기) 시범단지로 확대된다. 2019년까지는 5MW급 300기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추가로 건설될 예정이다.

1단계 사업에는 민관 합동으로 6036억원이, 2단계는 3조254억원, 3단계로는 민간에서만 5조6300억원을 투자하게 된다.

총 투자액 9조2590억원 중 정부는 해상구조물 등의 기술개발에 290억원을 지원하고, 나머지 발전기 개발·설치, 지지구조물 설치·계통연계 등 대부분의 예산은 민간에서 투자하게 된다.

또한 한국전력 사장을 회장으로 지자체장, 발전사?풍력업체·기기·건설사 대표 등이 참여하는 ‘해상풍력추진협의회’가 구성돼 투자 연속성, 인·허가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협의회 산하에는 실무 집행기구로 ‘해상풍력추진단(단장 한경섭 풍력PD)’이 설치돼 제반사항을 총괄하게 된다.



<>부안-영광지역 해상풍력 최적지

지경부는 서남해안권 외에 제주도, 남해안 등 다른 지역의 소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에 대한 지원방안을 별도로 검토하고, 육상풍력에 비해 투자비가 많은 점을 고려해 2012년부터 시행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에 높은 가중치(육상풍력 1, 해상풍력 1.5~2)를 부여할 계획이다.

부안-영광지역 해상의 바람 등급은 Class 3(6.9~7.5m/s)으로, 수심 20M 이내이며, 변전소 이격거리 15km로 측정돼 300MW 이상의 대규모 단지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해상풍력단지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로, 국내 조선·중공업 업계에서 해외시장 진출 목적으로 5MW급 이상의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개발을 추진 중”이라며 “1단계 실증단지는 기업들이 수출을 위해 필요한 운영경험(Track Record) 확보를 지원하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육상풍력 한계 바다로, 바다로…

정부와 풍력업계는 육상풍력의 경우 좁은 국토 면적으로 인한 인허가 문제와 환경 파괴 및 소음 등 민원 발생 등으로 대규모 풍력단지를 조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시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답안을 해상풍력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국토의 3면이 바다인 장점을 십분 활용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조선, 해양플랜트 등 연관산업을 접목하면 국내에 대규모 풍력단지 건설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출효자 품목 탄생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현재 중앙정부와 지자체, 발전사, 조선사 등을 중심으로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검토중이다. 지자체로는 부산과 전남, 전북, 제주 등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한전을 중심으로 6개 발전 자회사가 해상풍력을 검토중이다.


<>조선·중공업사 2012년 상용품 완성

관련업체들도 정부와 발전사의 움직임에 보조를 맞추고 있다. 국내 유수 조선·중공업사들 대부분이 2012년말까지 해상풍력발전기 완성품을 제작한다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두산중공업은 3MW 풍력발전기 개발을 완료해 질증중이며, 현대중공업은 내년에 5MW, 삼성중공업은 2012년에 5∼7MW, 효성은 2012년 5MW, STX중공업은 2012년까지 7∼8MW, 대우조선해양은 2012년에 6∼7MW급 풍력발전기를 선보일 계획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후발국가지만 조선 중공업 건설 플랜트 전기 등 우리의 강점을 살리면 조기에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육상풍력과 해상풍력의 원가 구성을 비교해 보면 육상풍력은 터빈(발전기)의 가격이 높은 반면 해상풍력은 기반공사와 계통연계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우리나라가 현재 육상풍력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선진국을 따돌릴 수도 있다는 계산이다. 발전기 개발에서는 뒤쳐져 있지만 기반공사와 계통연계 분야에서 차별화를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동해안은 수심 깊어 단지조성 어려워

한전이 지난 2008년부터 내년 2월까지 추진하는 국내 해상풍력 타당성조사 연구에 따르면 수심 30m까지 나갈 경우 8GW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이 가능하다.

타당성 연구조사에 의하면 태안, 군산, 부안∼영광, 신안, 진도 등 5개 지역이 우선개발 가능지역이다. 이중 부안∼영광일대는 바람등급, 수심, 변전소와의 이격거리, 단지규모 등 4개 분야에서 최적지로 꼽힌다.

그러나 제주도와 동해안, 남해안의 경우 풍황은 좋으나 확장성과 깊은 수심 등으로 한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제주도와 남해안지역은 세부 타당성 조사후 소규모 단지가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증->시범단지->확산 단계로 추진

정부의 로드맵은 실증단지 조성, 시범단지 조성, 확산 등 3가지 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우선 테스트 베드(Test Bed) 구축과 트랙 레코드(Track Record), 단지설계기술 확보를 위해 내년부터 3년간 100MW(5MW×20기) 규모의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시범단지는 운영기술 확보와 상업화 가능성 검증을 위해 2014∼2016년까지 900MW(5MW×180기) 규모로 조성된다.

확산단계는 2017년부터 비용절감과 대규모 단지를 개발하는 것으로 1500MW(5MW×300기) 규모로 건설할 예정이다. 계통연계는 1단계에서 고창시험장S/S에서 22km에 달하는 HVAC를 건설하고 2단계에서는 새만금S/S에서 80km에 이르는 HVDC를 건설하게 된다.


<>FIT업이 RPS 시행으로 가중치만 부여

관련업계는 이번 정부의 로드맵에서 해상풍력에 대한 FIT 적용 없이 RPS 가중치만 부여한 부분에 강한 불만과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육상풍력에 비해 설치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정부지원 없이는 산업화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업계의 반응이다. 주요국가들은 이미 육상풍력의 1.6배에 달하는 고가의 해상풍력 발전차액을 책정해 지원하고 있다.
이와함께 관련업계는 원거리로 인한 송전선로, 계통연계 비용을 정부와 전력사가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최근 한국풍력산업협회는 해상 풍력발전단지 인근에 변전소를 신설해 접속비용을 전기요금에 장기 분할 배분하는 방식의 이른바 ‘녹색성장 분담금’제도를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