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 소형·분산화로 경제성 없어…핵융합로 2050년 상용화 불가능
【에너지타임즈】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필요한 태양광발전 400GW를 보급하는데 국토 2%면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전기협회(회장 정승일)는 탄소중립 선언 1주년을 맞아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13일 전경련회관(서울 영등포구 소재)에서 ‘국가 탄소중립 추진전략 활성화 방안·과제’를 주제로 한 2021년도 제8차 전력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임춘택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선 태양광발전 등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해야 하나 SMR 등 청정기술에 대해선 냉철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임 원장은 2019년 기준 새롭게 설치된 발전설비 중 재생에너지가 72%를 차지했다고 언급하면서 2016년을 기준으로 이전엔 풍력발전 보급이 높았으나 이후엔 태양광발전 보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재생에너지를 위한 환경도 좋아지고 있다고 밝히면서 발전원별 균등화 발전비용 추이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 가격은 2009년 MWh당 359달러에서 2020년 37달러로 90%, 풍력발전은 이 기간 MWh당 135달러에서 40달러로 70%로 각각 하락했으나 원전은 이 기간 MWh당 123달러에서 163달러로 33%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임 원장은 태양광발전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의 걸림돌 중 하나로 좁은 국토를 지적하는 것과 관련해서 오해의 부분이 있다면서 현재 효율만으로도 국토 3%면 탄소중립에 필요한 재생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효율이 더 높아진다면 2%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재생에너지는 태양광발전의 경우 400GW, 풍력발전의 경우 100GW라면서 언급한 뒤 태양광발전 효율이 18%일 때 도심 부지 1%로 태양광발전 100GW, 농어촌 부지 3%로 태양광발전 300GW를 보급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또 그는 태양광발전 효율이 36%까지 올라간다면 도심 1% 부지로 200GW, 농어촌 1% 부지로 200GW까지 보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가용한 국토는 전답 18.7%, 도로 3.3%, 하천 2.8%, 기타 8.6% 중 1~2%만으로 태양광발전을 보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뿐만 아니라 임 원장은 모든 청정기술이 탄소중립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면서 옥석을 가려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을 했다.
그는 첫 번째로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해 소형화와 분산화로 경제성이 없다고 밝히면서 기존 원전은 소형에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형으로 확대했는데 대형을 소형으로 다시 돌아가는데 경제성이 있을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또 그는 핵융합로에 대해서도 2050년 상용화가 힘들고 경제성도 떨어져 탄소중립에 역할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그는 ▲CCUS ▲그린수소 ▲연료전지 ▲수소터빈 ▲수소자동차 ▲계통관성 ▲산림흡수 등도 탄소중립에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