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활성화 걸림돌…보상 부재 전력시장 손꼽혀
ESS 활성화 걸림돌…보상 부재 전력시장 손꼽혀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1.03.09 16:2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창근 팀장, 계통 안정화 기여 충분한 비용 보전 중심 개편 추진
이성규 부장, 충분한 보상 가능하도록 전력시장 개선 필요성 강조
이학성 회장, 화재 사태 후 ESS 생태계 복원 최우선 과제 손꼽아
9일 전기회관(서울 송파구 소재)에서 전기협회가 전기산업진흥회·스마트그리드협회 등과 공동으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2021년도 제2차 전력정책포럼을 개최했다.
9일 전기회관(서울 송파구 소재)에서 전기협회가 전기산업진흥회·스마트그리드협회 등과 공동으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2021년도 제2차 전력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에너지타임즈】 재생에너지 확대 여파로 전력계통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ESS가 이 같은 우려를 줄여줄 수 있는 대안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SS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역할에 비해 충분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전력시장에 있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대한전기협회(회장 김종갑)는 한국전기산업진흥회·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등과 공동으로 9일 전기회관(서울 송파구 소재)에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2021년도 제2차 전력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이창근 전력거래소 계통계획팀장은 재생에너지 공급이 확대된다면 재생에너지 변동성 영향을 받아 주파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등 전력계통에 대한 압박이 커져 대응이 까다로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그는 현재 전력계통은 원전·석탄발전·가스복합발전 등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요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최적화돼 있다고 언급한 뒤 앞으로 건설될 재생에너지 50%가 호남에 집중되는 등 발전소를 건설해야 할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새로운 전력계통을 구성해야 할 상황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할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전력계통에 문제가 되는 재생에너지 가동을 중단시키면 되나 현재 정책 방향에 비춰볼 때 불가능한 방법이라면서 다만 재생에너지 확대 여파로 전력계통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으로 ESS를 손꼽았다.

특히 그는 현재 전력시장 보조서비스 보상기준이 현실적이지 못하다고 언급하면서 전력거래소는 ESS를 포함한 전력계통 안정화에 역할을 하면 충분한 비용이 보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한 체계를 개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뿐만 아니라 이 팀장은 조만간 육지에서도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면서 문제의 재생에너지 연계 ESS가 충분히 설치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ESS가 주간에 충전해야 하는 규정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규정은 정작 ESS가 필요할 때 완충됨에 따라 활용되지 못하는 걸림돌이라고 설명하면서 ESS 충·방전이 능동적으로 이뤄져야만 전력계통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성규 한전 계통연계부장도 재생에너지 확대 여파로 송전선로 보강이 이뤄져야 하는데 민원 등으로 늦어지면 발전기 출력제한이 불가피하게 된다면서 ESS는 이 같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한전은 1.4GW 규모 ESS 설치를 계획하고 있고, 이를 통해 3000억 원에 웃도는 발전기 출력제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주파수 조정을 원전·석탄발전·가스복합발전 등이 하고 있고 재생에너지도 주파수 조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ESS 충·방전을 현실화하는 등 전력계통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특히 이 부장은 ESS가 전력계통에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위해 REC 가중치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력시장에서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전력시장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미 조성된 ESS산업 생태계가 유지되야 할 것이란 관련 업계 주장도 이어졌다.

이학성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 회장은 ESS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선 턴키사업자 책임하에 ▲안전 ▲시스템 성능 ▲사업성 등을 보증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지향하고 전문성을 가진 다양한 중소기업·학계·기관들이 생태계 육성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그는 ESS 화재 사건 이후 ESS산업 생태계 전반에 퍼져있는 안전불감증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하기 위한 생태계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손꼽았다.

특히 이 회장은 ESS 용도를 단일용도로 활용하기보다 안전을 담보한 상태에서 다목적용으로 활용한다면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내는 등 ESS산업 생태계를 보다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9일 전기회관(서울 송파구 소재)에서 전기협회가 전기산업진흥회·스마트그리드협회 등과 공동으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2021년도 제2차 전력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왼쪽부터 이학성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 회장, 이성규 한전 계통연계부장, 이창근 전력거래소 계통계획팀장.
9일 전기회관(서울 송파구 소재)에서 전기협회가 전기산업진흥회·스마트그리드협회 등과 공동으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2021년도 제2차 전력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왼쪽부터 이학성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 회장, 이성규 한전 계통연계부장, 이창근 전력거래소 계통계획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