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E 수용능력 확보 방점…단기 분산E 활성화 대책 나와
재생E 수용능력 확보 방점…단기 분산E 활성화 대책 나와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1.03.03 19: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특성 반영 에너지체계 구축 위한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사업 추진
제주도 내 재생E 출력제어 증가 불가피한 점 고려해 최소화 방안 추진
산업부 청사. (사진=뉴시스)
산업부 청사. (사진=뉴시스)

【에너지타임즈】 정부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에너지시스템이 긴요한 제주도 상황을 고려한 단기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을 늘리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대규모 발전소·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 증가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분산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마련한데 이어 3일 제주도신재생에너지홍보관(제주 제주시 소재)에서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대책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내용 중 단기적으로 추진이 가능한 ▲지역 주도 에너지시스템 실현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 최소화 방안 등을 반영하고 있다.

먼저 산업부는 지역 주도 에너지시스템 실현을 위해 마을 내 다양한 분산전원을 보급·연결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에너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사업을 추진한다.

그 일환으로 산업부는 지역에너지 이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에너지센터’를 설립하고 지자체·전문기관 등과 함께 지역에너지계획을 고도해 나가는 한편 분산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해 통합발전소(Virtual Power Plant)·배전망운영자제도(Distribution System Operator) 실증, 생산·소비자 간 직접 거래 등 전력거래 특례 등을 허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증가 여파로 전력수요를 초과하는 전력공급이 발생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불가피하게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해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연도별 제주 출력제어는 2015년 3회(제어용량 152MWh), 2017년 14회(1300MWh), 2019년 46회(9223MWh), 2020년 77회(1만9449MWh) 등이다.

산업부는 제주와 육지를 연결하는 HVDC #1·2는 육지에서 제주로만 전력을 보냈으나 역송성능을 확보해 제주도 내 잉여전력을 육지로 전송하기로 했다. 이 같은 조치는 올해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이 최대 342MW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산업부는 제주와 육지 간 전력수급상황에 따라 실시간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HVDC #3를 2022년 말 준공하면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은 400MW 추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뿐만 아니라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를 위해 발전설비용량 150MW 규모 재생에너지 추가 수용이 가능한 계통안정화 에너지저장장치(ESS) 23MWh를 올해 제주도부터 우선 구축하기로 했다.

또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해소할 새로운 유연성 자원으로 잉여전력을 수소로 전환하는 P2G(Power to Gas) 기술, 열로 전환하는 P2H(Power to Heat) 기술,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Vehicle to Grid) 기술 등을 제주도에서 실증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는 이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에너지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며, 시장제도 개선 방안과 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올 상반기 내 수립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산업부는 추후 분산에너지시스템으로 전환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법적근거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도 검토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2019년 6월 확정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20년 12월 확정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고 산업부는 분산에너지포럼 개최와 정책연구 수행, 지자체·업계 설명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당정 협의를 통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