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화재사고 5곳 중 4곳 사고원인 배터리 손꼽혀
ESS화재사고 5곳 중 4곳 사고원인 배터리 손꼽혀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0.02.06 18:1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SS화재사고조사단, 예산·군위·김해·평창 ESS화재사고 원인으로 배터리 결론
정부, ESS 배터리 충전율 80~90% 제한 등을 골자로 한 추가 안전대책 내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김재철 ESS화재사고조사단 공동단장이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 ESS화재사고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김재철 ESS화재사고조사단 공동단장이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 ESS화재사고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에너지타임즈】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5건 중 4건의 화재원인이 배터리란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ESS 배터리 충전율을 제한하는 등을 골자로 한 추가 안전대책을 내놨다.

ESS화재사고조사단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지난해 8월 이후 예산·군위·김해·평창·하동에서 발생한 ESS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 하동을 제외한 나머지 4곳 발화지점이 배터리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조사단 측은 예산·군위 ESS화재사고 현장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내부발화 시 나타나는 용융흔적을 확인했으며, 김해 ESS화재사고의 경우 배터리 간 전압편차가 커지는 경향이 운영기록을 통해 나타났고 배터리 분리막과 음극판에서 구리와 나트륨 성분 등이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또 조사단 측은 평창 ESS화재사고 관련 충전 시 상한전압과 방전 시 하한전압 범위를 넘는 충·방전현상이 나타났고 당시 배터리 보호기능이 동작하지 않았고 분리막에서 구리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반면 조사단 측은 배터리가 발화원인으로 지목되지 않은 하동 ESS화재사고 관련 2열로 구성된 ESS 설비 중 한쪽에서 급격한 절연성능 저하가 먼저 발생했고 이후 다른 한쪽 절연성능도 서서히 저하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이 같은 분석을 통해 예산·군위·김해·평창 ESS화재사고 관련 발화지점을 비롯해 방전 후 저전압과 높은 전압편차 등을 감안할 때 배터리를 사고원인으로 결론 내렸다. 또 하동 ESS화재사고 관련 노출된 가압충전부에 외부이물질이 접촉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조사단은 배터리에서 화재가 시작됐다고 지목된 예산·군위·김해·평창 곳은 90% 이상 높은 충전율조건으로 운영하는 방식에 배터리 이상현상이 결합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분석한 뒤 배터리 충전율을 낮추는 등 유지관리를 강화할 경우 ESS화재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또 조사단은 일부 ESS사업장에서 배터리 운영기록 저장·보존·운용관리가 미흡해 사고예방과 원인규명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새로운 사업장뿐만 아니라 기존 사업장에도 시스템·배터리의 운영기록을 저장하고 보존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ESS 배터리 충전율 80~90% 제한 등을 골자로 한 ESS 추가 안전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정부는 그 일환으로 ▲옥내 80%, 옥외 90% 충전율 제한 의무화 ▲철거·이전 등 긴급명령 제도 신설 ▲옥내 설비 재사용 통한 옥외 이전 추진 ▲블랙박스 설치 통한 ESS설비 운영데이터 별도 보관 등을 추진키로 했다.

한편 ESS화재사고조사단은 전기·배터리·소방부문 전문가 등 20명으로 지난해 10월 17일 꾸려졌으며, 지난 4개월 간 108회에 걸쳐 조사를 진행했다.

또 한국전기안전공사와 산업기술시험원은 이 조사단 활동을 지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