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냉방 역할 급부상…발전소 건설 줄이고 전력계통 안정화 기여
가스냉방 역할 급부상…발전소 건설 줄이고 전력계통 안정화 기여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9.07.02 16: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적 측면서 2차 에너지 대신 1차 에너지 사용함으로써 100% 가능
소형건물 500평 기준 GHP 설치 시 냉방비용 EHP 대비 절반이상 줄어
韓 보급률 5~10%인 반면 日 23% 웃돌아…전문가 20%까지 확대해야
가스냉방 설치 시 각종 장려금 지원 등 다양한 지원제도 마련해 운영
가스공사, 중·장기 가스냉방 보급 확대 방안 올해 하반기 중 수립 예정

【에너지타임즈】 현 정부에서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에너지전환정책, 이 정책은 원전과 석탄발전 중심 대형발전전원을 줄이는 한편 신재생에너지와 가스발전 보급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에 방점을 찍고 있다.

이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논쟁은 신재생에너지와 가스복합발전이 원전과 석탄발전 등으로 대표되는 대형발전전원 자리를 제대로 보전할 수 있을지 여부다. 물론 가보지 않은 미래인 탓에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에너지전환정책으로 인한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은 전력수요를 낮추는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냉방수요와 난방수요가 낮아진다는 것은 그 만큼 원전이나 석탄발전 등 대형발전전원을 추가로 건설해야 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력시장에서 전력피크는 사실상 냉방수요에서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시 전력예비율이 30%에 육박하는 반면 여름철과 겨울철에 전력예비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는 셈이다. 그 동안 여름철 냉방전력수요에 대비해 대형발전전원이 건설돼 왔다.

이 같은 이유에서 여름철 냉방전력수요를 낮출 수 있는 대안으로 가스냉방이 손꼽히고 있다. 전기냉방에서 가스냉방으로 전환될 경우 냉방전력수요가 그만큼 낮아지게 되면 그만큼 대형발전전원을 건설해야 할 요인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에너지전환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스냉방 역할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최근 확정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중·장기 가스냉방 보급 확대 방안을 올 하반기 중으로 수립하겠다는 내용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그 동안 가스냉방은 여름철 냉방전력수요를 낮춰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하고 원전과 석탄발전 등 대형발전전원 건설요인을 줄이는 한편 높은 효율로 사용자에게 냉방비용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스냉방 보급이 활성화되지 못했던 배경은 도시가스 공급이 되지 않는 지역에 대한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점과 막연한 불편함과 불안함 등의 인식이 걸림돌로 작용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최근 도시가스 보급률이 충분한데다 도시가스에 대한 막연한 불편함과 불안함 등의 인식이 사라졌기 때문에 가스냉방 보급이 높아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게다가 도시가스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사실상 성장세를 멈춘 도시가스산업도 신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도시가스업계도 적잖게 기대하는 눈치다.

건물 옥상에 설치돼 있는 가스냉방기.
건물 옥상에 설치돼 있는 가스냉방기.

가스냉방 보급은 2011년 발생했던 9.15 순환정전사태를 계기로 본격화됐다. 여름철 전력수급난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손꼽혔기 때문이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공공기관 건물 중 연면적 1000㎡이상일 경우 가스냉방 등 비(非)전기식 냉방설비설치를 의무화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2013년 6월 변경했다.

특히 가스냉방은 원료로 전기 대신 도시가스를 사용해 여름철엔 냉방, 겨울철엔 난방을 할 수 있도록 개발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스냉방은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집중되는 전력피크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전력수급 안정화와 국가에너지원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 대형건물 중앙집중식 냉방시스템에 적합한 직화흡수식 냉온수기와 학교·오피스텔·교회·식당 등 중·소형 건물 개별난방에 적합한 가스히트펌프(GHP) 등이 개발돼 보급되고 있다.

가스냉방 장점으로 단연 높은 효율성이 첫 번째로 손꼽힌다.

국가적 측면에서 가스냉방은 2차 에너지인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1차 에너지인 천연가스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스복합발전 효율이 40% 수준임을 감안하면 가스냉방 효율은 100%인 셈이다. 또 여름철이나 겨울철 전력피크를 완화시킴으로써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냉방비용과 난방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중대형 건물에 직화흡수식 냉온수기를 설치한 사용자는 투자비와 10년간 운영비 기준 8억6300만 원인 전기냉방보다 20%가량 절감한 7억300만 원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중소형 건물에 가스히트펌프를 설치한 사용자는 전기히트펌프보다 초기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은 있으나 가스냉방지원제도와 저렴한 가스요금구조를 활용해 장기적으로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지난해 5월 서울시 기준 500평 규모 소형건물에 가스히트펌프를 설치한 소유자는 전기히트펌프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냉방비용 614만5000원보다 절반이상으로 줄어든 259만5000원의 냉방비용을 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가스공사는 냉난방공조용 여름철 도시가스요금 산정 시 원료비용 25%와 도매공급비용 100% 등을 할인혜택을 주고 있다.

이와 함께 가스냉방은 청정연료인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탓에 대도시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16년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스히프펌프는 전기히프펌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25%가량 적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에너지전문가들은 가스냉방 보급률을 20%까지 확대해야만 전력피크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국내 가스냉방 비중은 5~10% 수준에 머물고 있는 반면 기후조건이 비슷한 이웃나라 일본의 가스냉방 비중은 23%를 웃도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스냉방이 국가적인 측면이나 개별 사용자에 대한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급이 확대되지 않자 정부와 가스공사가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전력수급 안정을 위한 가스냉방 필요성을 인지한데 이어 가스냉방 설치보조금 지급, 공공기관 가스냉방 설치 의무화, 대형건물 가스냉방 설치 유도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그 일환으로 가스공사는 가스냉방 설치 시 설치장려금과 설계장려금을 지원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켜주는 한편 중소기업에 5% 장려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등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 바 있다.

에너지공단도 가스냉방 설치 시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에 대한 융자를 지원하고 있고, 설치소요자금 100%(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에 1.5%~1.75% 저리이율을 적용하고 있다.

또 가스냉방 구매는 조세특례제한법상 ‘에너지절약시설투자’에 해당되기 때문에 중소기업은 투자금액 중 6%, 중견기업 3%, 대기업 1% 등의 소득세·법인세를 공제받을 수 있다.

특히 가스공사는 가스냉방 가동률 제고와 보급 확대를 위한 연구용역을 오는 12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며, 이번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가스냉방사업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안)을 도출한 뒤 새로운 수요자 설치 증대와 기존 사용자 가동률 제고를 위한 장려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가스냉방은 전력피크 억제를 위한 사회적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에 따라 가스냉방 장점과 더불어 정부가 지원책을 강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그는 “가스공사는 가스냉방에 대한 고객이해도 향상을 위한 마케팅 활동의 일환의 도시가스회사와 협력해 가스냉방 홍보브로슈어를 배부하는 한편 가스냉방 보급 확대를 위한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가스이용을 통한 국민편익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연가스 / 전력 계절별 소비경향(2018년 기준).
천연가스 / 전력 계절별 소비경향(2018년 기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