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 드라이브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 드라이브
  • 정아름 기자
  • dkekckd@naver.com
  • 승인 2019.06.26 2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환경부·제주도·경북도·현대자동차 등 재사용·재활용 업무협약 체결
재사용·재활용산업 기반 제공하게 될 제주도배터리산업화센터 개소식 열려
26일 제주테크노파크(제주 제주시 소재)에서 산업부·환경부·제주도·경북도·현대자동차 등이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박천규 환경부 차관, 유정열 산업부 실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 설원희 혀내자동차 부사장 등이 업무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6일 제주테크노파크(제주 제주시 소재)에서 산업부·환경부·제주도·경북도·현대자동차 등이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박천규 환경부 차관, 유정열 산업부 실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 설원희 혀내자동차 부사장 등이 업무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너지타임즈】 앞으로도 급증하게 될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앙부처·지자체·자동차업계가 역량을 집중한다. 당장 그 필요성은 제한적이지만 조만간 발생할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제주도·경상북도·현대자동차 등은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에 협력키로 한데 이어 26일 제주테크노파크(제주 제주시 소재)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업무협약은 앞으로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의 효율적인 활용에 방점을 찍고 있으며, 중앙부처·지자체·자동차업계가 협력을 통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유가금속 회수 등 순환경제모델을 구축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난달 말 기준 6만9000대에 달하는 전기자동차가 보급됐고, 지자체로 반납된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112대에 불과하나 2022년 이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는 잔존가치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고, 제품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니켈·코발트·망간 등 유가금속 회수로 전후방 산업 연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이 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산업부와 환경부는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성능평가·재사용·재활용 관련 규정을 정비하는 한편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등 추진 기반을 마련한다.

또 산업부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재사용과 재활용을 포함한 배터리산업 생태계 육성, 환경부는 유가금속 회수 등 재활용체계를 구축, 제주도·경북도·현대자동차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모델 발굴 등을 각각 담당한다.

이와 함께 환경부·경북도·제주도는 관련 연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전문연구기관과 자동차업계에 전기자동차 폐(閉)배터리를 제공한다.

특히 이들은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 제주도·현대자동차 등에서 보유한 시설과 인력을 활용해 성능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산업부와 제주도는 협업으로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관련 잔존가치·성능평가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재사용 배터리 활용 연구·실증 등으로 재사용·재활용산업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제주도배터리산업화센터를 구축한데 이어 이날 개소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유정열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제주도배터리산업화센터 관련 “국내 제1의 전기자동차 보급지역인 제주도에 국내 1호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센터가 구축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미래에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활용은 고부가가치산업 육성과 유가금속 회수 등 순환경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