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제주전력관제센터…에너지전환 맞춤형 재구축 급물살
전력거래소 제주전력관제센터…에너지전환 맞춤형 재구축 급물살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9.05.24 08: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MS설비 노후화와 계통·재생E 급증에 따른 통합관제 구축 필요성 크게 대두돼
조영탁 이사장 미래 전력산업 조망해보는 시험무대로 보고 강한 드라이브 걸어
부족한 부지 확보 걸림돌 점쳐져…인허가 등 포함 이르면 2년만에 재구축 가능
전력거래소 제주전력관제센터 전경.
전력거래소 제주전력관제센터 전경.

【에너지타임즈】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목표달성 등 에너지전환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나 문제를 미리 진단해보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험무대인 전력거래소 제주전력관제센터가 재구축사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3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전력거래소 제주본부는 제주전력관제센터 내 핵심설비인 EMS설비 노후화되고 제주지역 전력계통 증가와 재생에너지 급증 확대 등에 따른 통합관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현재 개발된 K-EMS 기반으로 제주실정에 맞는 EMS를 개발·적용한 제주전력관제센터를 재구축하는 것으로 방향을 정했다.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사업은 내달 중순경 열리는 전력거래소 이사회를 통과할 경우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제주전력관제센터 EMS설비는 2004년 2월 설치됐으며, 내용연수 10년을 훌쩍 넘겨 15년이나 운영되고 있다는 점과 함께 공급사가 이 설비의 생산을 2008년 중단하면서 부품을 공급받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물론 이 설비를 사용하는 게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약이 뒤따르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설비를 사용하는 것은 휴대폰 사용에 비춰볼 때 5G시대가 도래했음에도 3G를 사용하는 것에 비유되고 있다. 5G든 3G든 통화는 가능하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제약이 뒤따른다.

이와 함께 제주지역 내 전력계통 증가와 함께 에너지전환정책 추진에 따른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는 점도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 필요성이 강조되는 부분이다.

이 같은 필요성이 대두됐음에도 불구하고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이 늦어진 이유는 전력거래소 경인지사 존치여부결정을 정부가 미뤄왔기 때문이다. 전력거래소는 정부에서 경인지사를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이곳에 설치됐던 K-EMS를 제주전력관제센터에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했다. 그러나 정부가 경인지사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전력거래소는 에너지전환정책 맞춤형 제주전력관제센터를 새롭게 재구축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조영탁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그 동안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에 큰 관심을 보여 왔다. 이 센터를 통해 미래전력산업을 들여다보겠다는 의지로 풀이되는 부분이다.

조 이사장은 “제주지역은 이미 재생에너지 3020 이행목표 달성했다”고 언급한 뒤 “새롭게 구축되는 제주전력관제센터는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전력계통이나 전력시장에서의 변화를 미리 예측해 보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지난 2월 말 기준 제주지역 발전설비용량은 1635MW. 이중 육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초고압직류송전 400MW(점유율 24.5%), 제주지역 내 운영되는 발전설비 778MW(47.6%),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457MW(28.0%) 등으로 전원이 구성돼 있다.

현재 제주계통 발전설비용량 기준 재생에너지 비중이 28.0%이고 지난해 재생에너지 발전량 기준 재생에너지 비중이 12.9%이지만 육지계통 내 재생에너지 비중에서 수력발전을 뺐다고 가정한다면 사실상 제주계통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주계통 내 풍력발전 출력제어는 2015년 3회, 2016년 6회, 2017년 16회, 2018년 17회 등 모두 43회에 걸쳐 시행되는 등 이미 에너지전환정책 후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이 이미 불거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 조 이사장은 제주도를 미래 전력산업을 조망해볼 수 있는 중요한 시험무대로 보고 올해 초 제주지사를 제주본부로 격상시킨데 이어 단순한 감시기능뿐만 아니라 전력거래소 본사에 일원화돼 있는 전력수급 전반에 걸친 역할을 부여한 바 있다.

다만 문제는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에 필요한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

현재 제주본부 부지는 1300평이지만 자연녹지인 탓에 건폐율 20%를 적용할 경우 260평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으며, 현 건물이 210평을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추가로 활용할 수 있는 부지는 50평에 불과한 상황이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제주지역 내 도심을 제외한 부지는 건폐율을 20% 넘을 수 없다”고 언급한 뒤 “그렇기 때문에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에 추가로 필요한 부지는 2500평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현재 제주본부 인근 부지를 비롯해 제주지역 전역을 대상으로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본부장은 “제주전력관제센터 재구축은 부지를 확보한 시점으로부터 각종 인허가 등을 포함해 이르면 2년 만에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