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 끝에 원전생태계 동아줄 되나…한수원 11년간 1.7조 투입 결정
벼락 끝에 원전생태계 동아줄 되나…한수원 11년간 1.7조 투입 결정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9.04.02 12:5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동원전 대상으로 한 설비 보강과 예비품 발주 등 중심으로 로드맵 수립·발표
국내외 인증 취득·유지비 지원 확대…원전해체전문기업 확인·추천제 도입 추진
신고리원전 3·4호기 전경.
신고리원전 3·4호기 전경.

【에너지타임즈】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한편 원전 비중을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한 에너지전환정책이 속도를 내면서 원전산업생태계가 크게 위협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한수원이 2030년까지 11년간 설비 보강과 예비품 발주 등 원전설비에 예산 1조7000억 원을 투입한다는 내용을 담은 로드맵을 내놨다. 이 로드맵은 원전산업생태계 유지에 초점을 맞춘 첫 실질적인 대안으로 손꼽히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기업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원전기업 대상 설문·방문조사 등을 토대로 분석한 객관적인 원전산업생태계 현황을 진단하는 한편 원전기업 경영애로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일 원전기업지원센터(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원전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한수원은 원전기업에게 일감을 확보해 주고 이들이 예측 가능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가동원전을 대상으로 한 설비 보강과 예비품 발주 등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1조7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원전안전성 강화 / 원전유지보수사업 로드맵(2019~2030년)’을 수립한데 이어 전격 발표했다.

이 로드맵에 의거 한수원은 ▲2019년 3161억 원(213건) ▲2020년 3271억 원(83건) ▲2021년 2417억 원(37건) ▲2022년 1625억 원(19건) ▲2023년 767억 원(17건) ▲2024년 897억 원(20건) ▲2025년 1635억 원(19건) ▲2026~2030년 3444억 원(22건) 등의 예산을 매년 투입하게 된다.

한수원은 지난 1월 경남·경북·호남 등 5개 지역에서 원전기업지원센터 권역별 설명회를 개최해 원전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한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원전기업들은 원전산업생태계 유지 일환으로 가동원전에 대한 안전투자 확대와 예측가능성 확보 위한 장기투자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요구한 바 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한수원이 앞으로 10년 간 매년 투자계획을 공개하고 관련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원전기업 사업 참여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여 원전산업생태계 활성화와 안정적인 원전기업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뿐만 아니라 정부와 한수원 등 원전공공기관은 한수원 납품과 해외수출에 필요한 국내외 취득·유지 등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지원대상과 지원규모를 이달 중으로 확대하는 한편 보조기기와 예비품 등 원전기자재를 생산하는 원전기업들의 독자적인 해외진출 촉진을 위해 중국·러시아 등 해외 인증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가로 검토하는 등 국내외 인증 취득과 유지비용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이들은 원전해체사업 관련 이 사업에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을 위해 오는 12월까지 고리원전 1호기 원전해체공정정보를 공개하고 원전해체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할 때 원전해체전문기업 확인제와 추천제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원전의 안정적인 운영에 필요한 원전산업생태계를 유지한다는 정책적 의지가 확보하다”고 정부 입장을 밝힌 뒤 “(정부와 원전공공기관은) 원전기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원전기업에 대한 주기적인 실태조사와 애로사항 파악을 통해 원전기업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