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선언 후 남북훈풍…北 전력사업모델 큰 눈길
판문점 선언 후 남북훈풍…北 전력사업모델 큰 눈길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8.05.08 22:5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北 전력수급난 신재생E→가스발전→석탄발전 등으로 타개 가능
건설기간·연료수급상황·전력수급지역 등 감안한 모델로 손꼽혀
아이디어 차원이나 현실가능성 높은 모델이라고 전문가 내다봐

【에너지타임즈】판문점 선언 후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고질적인 북한 전력수급난을 타개할 모델이 나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물론 정부정책으로 검토되지 않은 아이디어 차원에서 나온 모델이지만 당장 실현가능성이 크다는 점은 앞으로 정해질 정책방향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8일 권칠승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동서발전(주)으로부터 제출받은 ‘발전부문 대북협력사업(안)’에 따르면 이 안은 단기대책으로 신재생에너지, 중기대책으로 가스발전, 장기대책으로 석탄발전을 각각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방안은 건설기간과 연료수급상황, 전력수급지역 등을 모두 감안한 방안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미국과 유엔(UN)의 대북제제가 해제되는 한편 남북경제협력이 가시권에 들어올 경우 도로나 철도를 연결하는 만큼이나 중요한 것으로 북한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손꼽힌다.

남북경제협력 여건이 충족된다면 이 방안은 동시에 추진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대표적인 분산전원으로 손꼽히는 신재생에너지는 단기대책으로 적합하다. 발전설비용량이 소규모인데다 이르면 1년 내 건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질적인 북한 전력수급난에 숨통을 트일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동서발전이 분석한 결과 북한 1인당 전력소비량이 800kWh이라는 가정 하에 발전설비용량 23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발전설비용량 2.3MW×10기)를 조성할 경우 북한주민 7만5000명에게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중기대책인 가스발전은 남북접경지역에 건설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스발전은 3년 내외의 물리적 건설기간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발전연료인 천연가스를 공급받기 위한 시설을 갖춰야 하는 탓에 중기대책으로 손꼽히고 있다.

현재 남북접경지역 가스발전 건설이 가시화될 경우 가스발전 건설과 함께 경기 파주시까지 연결된 천연가스배관이 발전부지까지 연결되는 공사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 또 평양까지 이어지는 송전선로 건설도 동시에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이 발전소가 준공될 경우 남북접경지역에서 평양까지 전력공급체계가 구축된다.

석탄발전은 물리적으로 8년 내외 건설기간을 필요로 하는 만큼 장기대책으로 분류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발전부지는 발전연료인 무연탄을 인근지역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생산된 전력을 인근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는 지역이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황해남도 해주시(개성공단·해주공업단지)와 강원도 원산시(원산공업지구·금강산관광), 함경북도 김책시(광공업·수산업·관광업)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에너지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물론 이 모델은 동서발전에서 아이디어로 제안한 것이지만 실현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평가한 뒤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분산전원이 대안으로 떠오르지만 남북경제협력이 가시화될 경우 북한 경제성장률은 두 자릿수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석탄발전 등 대형발전설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고위관계자는 “(이 방안이) 정부정책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충분히 검토해볼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편 최근 통계청 남북지표와 전력업계에 따르면 2016년 남한 발전설비용량은 1억586만kW인 반면 북한 발전설비용량은 766만kW에 머물고 있어 남북 간 발전설비용량은 무려 14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게다가 북한의 노후화된 발전설비와 노후화 된 송·배전선로 등을 감안할 때 전력수급난은 이보다 더 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북한 전원구성 중 수력발전 비중이 높다는 것은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손꼽힌다. 발전량 기준으로 북한의 수력발전 의존도는 절반이상을 웃도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그렇다보니 갈수기 등으로 가동률이 현저히 떨어져 고질적인 전력수급난이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게다가 북한 내 수력발전 대부분이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임을 감안한 때 잦은 고장과 성능저하는 북한의 전력수급난을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질적인 북한의 전력수급난을 해소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것보다 발전설비를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력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일단 남북이 주파수(남한 60MHz, 북한 50MHz)가 다르다보니 직접 송전해서 북한에 직접 공급하는 방식으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바람하지 않고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북한에 발전설비를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노후화된 송·배전설비로 인해 전력을 공급해주더라도 손실이 커 효율성은 극히 떨어질 수밖에 없고, 게다가 남한의 전력계통도 불안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