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지하자원 매장량…국제기준 적용 17~33% 불과
北 지하자원 매장량…국제기준 적용 17~33% 불과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6.10.22 09: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인우 광물자원公 실장, 산출기준 비교분석 올바른 인식 필요
北 지하자원 활용하면 통일한국 경제력은 독일·일본 등과 비슷

【에너지타임즈】남북관계가 사실상 단절된 가운데 현재까지 북한이 발표한 지하자원 매장량을 국제기준으로 따져볼 때 17~33% 수준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산출기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이 지하자원을 통일준비와 통일재정 확충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인우 한국광물자원공사 남북자원협력실장은 지난 21일 인터불고호텔(강원 원주시 소재)에서 열린 ‘2016 한반도 통일경제 심포지엄’에서 ‘북한 지하자원 개발과 남북 경제협력’을 주제로 한 주제발표에서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실장은 “북한이 발표한 지하자원 매장량을 국제기준(확정+추정 매장량)으로 산출할 경우 17~33% 수준”이라고 언급하면서 “북한 지하자원 산출기준과 국제적인 산출기준 비교분석을 통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북한에 석탄·금속·비금속광이 두루 분포돼 있으며, 현재 42개 광종과 728개 광산(석탄광 241개, 금속광 260개, 비금속광 227개)이 개발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들 광산 중 매장량·수입의존·수출광종·유망투자광종 등을 바탕으로 석탄·철·아연·동·마그네사이트·흑연·몰리브덴·인회석·니켈 등을 개발유망광종으로 선정했으며, 이 광종에 대한 현재까지 알려진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액 분석결과 ▲철(평가액 4조4000억 원) ▲연·아연(3조6000억 원) ▲흑연(2000억 원) ▲텅스텐(7000억 원) ▲몰리브덴(1000억 원) ▲동(1조8000억 원) ▲인회석(6000억 원) 등 28개 유망광산의 평가액은 11조4000억 원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특히 이 실장은 북한 지하자원 강점으로 지질·광상 등 부존조건이 남한과 유사함에 따라 광산기술 적용·공유가 가능하고 남한에 부존돼 있지 않은 마그네사이트·인회석·갈탄 등 주요산업원료 매장량이 풍부하다는 점과 북한의 경제난으로 충분한 매장량조사가 이뤄지지 않음에 따른 정밀탄사로 인한 추가 매장량 확보 등을 손꼽았다. 또 개발유망광산이 지역별로 집중돼 있어 지역별 특구개발이 가능하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반면 그는 북한 전역의 광산별 매장량 확인조사가 불충분하고 광산개발에 필요한 전력·철도·항만시설 등의 투자비 발생, 북한 광산정보자료 미공개로 인한 정보 부족, 중국 등 인접국가 북한 지하자원개발 진출 활성화 등을 약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 실장은 북한 광물생산량은 대외비로 공식집계가 어렵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2015년 말 기준 금속의 연간 생산량은 ▲철(600만 톤) ▲연·아연(8만9000톤) ▲금(2톤) ▲은(50톤) ▲동(1만4000톤) ▲텅스텐(70톤), 비금속의 연간 생산량은 ▲석회석(660만 톤) ▲마그네시아(18만 톤) ▲인광석(9만5000톤) ▲흑연(1만 톤) 등이라고 소개했다. 또 무연탄의 연간 생산량은 4100만 톤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주요광산 728개를 기준으로 각 광산의 규모에 따른 통상적인 근무인원수를 산정한 결과 북한 근로자 109만3700명이 북한 지하자원 개발에 투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뿐만 아니라 이 실장은 북한 광물 수출액은 13억4000만 달러로 총 수출금액의 50%가량을 차지했고, 이중 중국으로의 수출이 13억 달러로 9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특히 이 실장은 북한 광업환경과 관련 최근 북한지역 가뭄에 따른 수력발전의 가동이 원활하지 않아 광산 우선 개발을 위한 전력공급시스템 구축이 미비하고 사회주의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 도로·철로 개보수 등이 광산개발의 경제성을 저하하는 원인으로 손꼽았다.

이 자리에서 이 실장은 광물자원공사의 북한 자원개발 추진계획을 소개했다. 이 계획의 비전으로 북한지역 부존자원을 활용한 통일한국의 균형발전 실현, 목표로 통일 후 북한지역 자원클러스터 설치로 자원부존지역 주민안정화와 자원기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이어 그는 과제로 ▲북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자원클러스터 설계 ▲통일 D-day 신속 대응인력 파견 / 클러스터 운영기구 설치 ▲북한 자원산업 문제점 진단 / 자원분야 통합시스템 구축 ▲자원관련 지역전략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을 소개했다.

또 이 실장은 ▲지역발전역량 극대화 자원클러스터 운영·관리 추진 ▲유관기관 태스크포스(T/F) 구성을 통한 현지조사, 분석, 사업평가 실시 ▲단계별 사업추진 및 민관 협업방식 도입(1단계 공공주도 → 2단계 공공+민간 → 3단계 민간주도) ▲북한 현지기업 육성을 위한 인큐베이터(Incubator) 정책 도입 등의 추진방식을 내놨다.

이 실장은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전망을 소개하면서 “통일한국의 경제력은 독일·일본 등과 비슷하다”면서 “통일준비와 통일재정 확충, 신성장산업 개발 등 경제적 노력을 동반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2016 한반도 통일경제 심포지엄은 이날 북한의 자원관리를 위한 이니셔티브 전략을 주제로 광물자원공사·한라대학교·동북아경제연구원 등의 공동개최로 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