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위기본계획 확정…원전 내 건식저장시설 불가피
고준위기본계획 확정…원전 내 건식저장시설 불가피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6.07.26 07:4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6차 원자력진흥위원회서 심의…최종 확정
중간저장 가동보다 임시저장 포화속도 빨라
곧 월성원전 증설…고리·한빛원전 건설해야

【에너지타임즈】현재 가동 중인 원전 내 습식저장시설에 보관 중인 고준위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저장할 수 있는 건식저장시설의 건설이 불가피하게 됐다.

원전 가동으로 발생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을 외부로 반출·보관할 수 있는 중간저장시설이 빨라야 2035년에나 가동되는데 반해 원전 내 운영되는 임시저장시설의 공간이 이보다 앞서서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원자력진흥위원회는 원자력 이용의 가장 큰 현안으로 남아 있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문제해결을 위해 지난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6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 기본계획'과 '미래원자력시스템 기술개발 / 실증추진전략'을 심의·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 기본계획은 투명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절차·일정·방식·기술개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관리시설은 인허가용 지하연구시설·중간저장시설·영구처분시설을 동일부지에 확보하는 방안으로 추진되며, 지하연구시설은 별도부지에 확보된다.

다만 현재 원전 내 발생·보관·저장 중인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은 실제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을 반출·저장할 수 있는 중간저장시설이 상업운전을 시작할 때까지 원전 내 건식저장시설에 한시적으로 관리된다.

한수원이 원전 내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을 임시로 보관할 수 있는 건식저장시설을 건설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기본계획에 따르면 부지는 2028년까지 선정되며, 이후 중간저장시설은 7년, 영구처분시설은 24년의 건설기간을 각각 거쳐 2035년과 2053년 각각 상업운전을 하게 된다.

반면 월성원전은 2019년, 한빛원전과 고리원전은 2024년, 한울원전은 2037년, 신월성원전 2038년 순으로 각각 포화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습식저장시설이 포화됐기 때문인데 그래서 임시저장시설인 건식저장시설이 필요하게 됐다.

한수원 고위 관계자는 "현재 원전 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임시저장은 연료 간 간격, 신규원전건설, 건식저장시설 등 세 가지로 확장이 가능한데 연료 간 간격은 이미 최대한 이뤄져 있고 신규원전건설도 불확정한 상황임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대안은 건식저장시설을 건설하는 방안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건식저장시설은 월성원전에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한 뒤 "한빛원전과 고리원전을 시작으로 (건식저장시설) 건설이 불가피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월성원전의 경우 증설, 다른 원전은 신규 건설을 추진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미래원자력시스템 기술개발과 실증추진전략도 확정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확보와 함께 미래원자력시스템 기술개발과 실증추진전략으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물량·처분면적·관리기간 등을 줄일 수 있는 미래원자력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이 자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는 "원전의 규모가 확대되고 운영 실적이 쌓이면서 방사성폐기물관리란 과제가 우리에게 남겨졌으며, 이제는 정부에서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관리대책을 수립해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국민과 소통하며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