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해외자원개발의 불씨를 지키자
<칼럼>해외자원개발의 불씨를 지키자
  • 에너지타임즈
  • webmaster@energytimes.kr
  • 승인 2009.01.30 17:1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대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

최근 수 년 간 세계 자원시장 환경은 급변하여 왔다.

2004년 이후 중국, 인도 등 거대 개발도상국의 자원수요 급증에 따른 자원수급 불균형과 자원보유국들의 자원민족주의의 확산, 그리고 국제 금융 투자자본의 가세로 인한 에너지 및 광물자원의 가격 폭등이 작년 상반기 까지 지속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로 인해 소요 자원의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재 수입 비용의 증가로 인한 경제적 부담 가중은 물론 유연탄, 천연가스 등 일부 자원의 경우 자원 확보 자체에 어려움이 발생되자 정부는 자원확보를 국가 최우선의 정책 아젠더로 채택하였으며 해외자원개발 투자 확대를 목표로 여러 지원정책을 마련한 바 있다.

또한 기업들도 자체 자원수요의 안정 확보와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자원개발 투자를 적극 확대하여 나갔다.

최근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투자액을 살펴보면 자원가격이 침체되었던 2003년 6억5000만달러에 불과했던 해외자원개발 총투자액은 지난해 57억달러로 5년 사이에 약 9배 급증하는 등 해외자원개발 투자가 본격적인 도약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 이후 불어 닥친 경제 불황과 국제 자원시장 환경의 급변은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투자 확대의 낙관적 전망을 어둡게 만들고 있다.

작년 7월 1.6달러/유로를 보였던 미국달러화 가치가 1.3달러/유로 까지 급등하며 자원가격은 하락세로 돌변하기 시작하였으며, 9월 자원시장의 투기거래 규제를 목적으로 하는 「투기거래규제법」이 미국 의회를 통과하자 원자재 투기자금들의 시장 철수로 인해 석유를 비롯한 모든 자원 가격의 급락이 이어졌다.

이후 미국 금융부실화에 의해 촉발된 세계 경제침체로 인한 자원 실물수요의 감소가 이어지며 자원가격은 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자원개발 산업의 경기 회복의 시기를 첨치기 어려운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현재의 자원가격 수준은 석유는 물론이고 동, 아연, 니켈, 카드뮴 등 금속자원의 경우도 생산비용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생산 광산의 휴광과 폐광이 연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돌이켜 보면 과거 1990년 대 말 외환위기로 인한 기업 구조개편이 불가피해 지자 국내 기업들이 기업 생존을 위해 해외 보유 광구를 앞다투어 매각했던 아픈 기억이 있다. 우려되는 것은 이러한 어리석은 일의 반복이다.

현재 국내 기업들은 국내외 경제 불황에 따른 매출 감소와 유동성 확보의 어려움에 처해져 있으며, 자원가격 하락으로 해외 투자 광구에서의 수익도 단기적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국내 많은 기업들은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시 해외 광구 매각에 따라 커다란 수익의 기회를 상실했던 교훈을 기억하고 있으며, 지금의 자원가격 하락에 따른 국제적 자원개발 산업의 불황이 절호의 투자 기회라 아직까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하반기 해외자원발협회가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올해 국내 기업들의 해외자원개발 투자 예상액은 약 70억달러로 전년에 비해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기업이 겪고 있는 유동성 부족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점이다. 즉, 매출과 수익 감소로 인한 현재와 같은 유동성 부족이 지속될 경우 기업들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현실에 떠밀려 보유광구의 매각과 자원개발 투자를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자원개발 투자사업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특단의 유동성 보급 정책의 운영이라 할 수 있다. 

최근까지 정부가 보여 온 해외자원개발 재정 지원의 주류는 자원개발 전문기업의 육성을 목표로 한 공기업에 대한 출자 확대였다. 이는 기업의 유동성 확보가 용이했던 과거에 있어서는 일면 타당한 대안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유동성 확보에 구조적 어려움이 발생한  현재와 같은 경제적 위기를 맞아서는, 자원개발 민간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위한 ‘해외자원개발기금’과 같은 새로운 자금원의 확보와 확보된 자금의 효율적이고도 신속한 지원을 위한 새로운 정책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모처럼 타오른 해외자원개발의 불씨를 거친 바람 속에서 지켜나가기 위해 정부와 기업 모두가 힘을 합치고 함께 지혜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