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전 직원 숙소, 서울보다 더 냉혹한 지방
지방이전 직원 숙소, 서울보다 더 냉혹한 지방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5.02.09 07: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관별 직원 ‘부익부 빈익빈’ 심각…금리·물량부족 이중고
품귀현상 이어지면서 상당기간 고충 이어질 것으로 점쳐져
【에너지타임즈】최근 에너지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속속 완료되거나 앞으로 지방이전이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지방이전기관 직원들이 고금리와 전세물량 품귀현상 등의 이중고를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수익사업을 하는 기관의 직원들은 독신자숙소 등을 배정받는 행운을 기대할 수 있고, 저금리로 금융지원을 받아 숙소를 마련할 수 있는 반면 정부로부터 예산을 받아 집행하는 기관이나 연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의 직원들은 고금리와 전세물량 품귀현상 등으로 고스란히 부담을 떠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 취재결과에 따르면 최근 지방이전을 한 A기관의 한 직원은 직원 2명과 전세 2억 원에 달하는 아파트를 마련해 숙소로 활용하고 있다. 이들은 1인당 7000만 원씩 금융기관으로부터 금리 4.3%로 대출을 받았다고 한다.

이 직원은 “대도시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전세가격이 너무 비싸다”면서 “차라리 중소도시로 이전했더라면 이 만큼 많은 전세금 부담을 느끼지 않아도 될 텐데…”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처럼 고금리든 뭐든 숙소를 마련한 것은 참 다행이지만 숙소를 구하지 못한 직원들이 상당수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현행법상 독신자숙소는 지방이전 전 숙소물량을 넘지 못하게 돼 있으며, 정부는 2년간 지방이전 직원 중 60%까지 기관에서 직원들의 숙소를 마련해 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익사업을 하는 이전기관의 직원들은 아파트 한 채에 3명씩 거주하고 있으며, 그나마도 해당되지 않는 직원들은 전세자금대출 등의 지원을 받거나 아니면 개인별로 대출을 받아 따로 거주하고 있다.

현재 수익사업을 하는 기관은 이처럼 직원들에게 대한 숙소문제를 해결해주고 있으나 비수익사업을 하는 기관은 이와 사정은 전혀 반대다.

이미 지방이전을 완료한 비수익사업 기관 중 대부분의 기관 직원들은 개별적으로 숙소를 마련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이전을 준비하는 비수익사업 B기관은 독신자숙소는 고사하고 노사 간 직원들에 대한 대출금리만 논의하고 있다. 이 논의도 장담하지 못할 정도로 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B기관 관계자는 “직원들에 대한 대출금리만 노사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지방이전 이후 당장 숙소문제가 문제인데 지금까지 아무런 대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C기관은 아무런 대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C기관 관계자는 “모두 알아서 하라는 분위기”라면서 “돈이 없는 기관이라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일찌감치 포기하고 있다고 푸념을 늘어놨다. 또 “어떻게든 살아지겠죠”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밖에도 전국의 혁신도시 아파트 등 매물가격이 상당한 수준까지 오르면서 전세매물을 구하는 것조차 힘들다고 이들 직원들은 입을 모은다. 게다가 현재 혁신도시 내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고, 준공될 때까지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전세물량 품귀현상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특히 그나마 숙소를 구한 직원들은 천만다행이지만 숙소를 구하지 못한 직원들은 더부살이를 하거나 고시원 등을 전전하는 직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