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해외자원개발을 위해 석유공사와 광업진흥공사의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나 현실적으로 전문인력을 얼마나 충원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민간기업도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선점하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으나 역시 인력확보가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토로하고 있다.
전문인력의 부족은 이웃 일본과 비교하면 확연히 드러난다. 국내 자원개발 전문인력이 약 300∼400명으로 추산할 때, 이 수치는 일본 메이저급 한 회사의 전문인력 숫자와 비슷하다.
일찍이 기후변화협약과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발전시켜 온 유럽과 국내와의 기술차이는 바로 이 전문인력의 차이이다.
이런 현상은 정부 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국제 회의장에 가보면 유럽이나 미국은 해마다 참석하는 사람이 거의 변동이 없는 반면에 우리나라 참석자는 회의 때마다 바뀐다. 수 십년 관련 전문 분야를 다뤄온 전문가와 길어야 1년 좀 넘게 업무를 담당한 전담인력의 차이는 굳이 말할 필요도 없다. 만약 중요한 협상이라면 그 결과는 거의 결정된 것이나 다름없다.
다행히 정부는 에너지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몇 해전부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또 대학들도 에너지 분야 전문 학과를 신설하거나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런 배경에는 에너지 분야의 중요성과 발전 가능성을 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인력양성에 대한 우리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전문가는 단기간에 투자한다고 이뤄지지 않는다. 한 명의 전문가를 키우기 위해 수 십년 동안 물을 주고 가꿔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