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만 꽂으면 ‘분산전원-스마트그리드’ 바로 연결
플러그만 꽂으면 ‘분산전원-스마트그리드’ 바로 연결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4.12.11 07: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연구원, IEC 61850 기반 인터페이스기술 세계 첫 확보

【에너지타임즈】플러그만 꽂으면 신재생에너지 등 분산전원과 스마트그리드가 손쉽게 연계되는 기술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 기술은 분산전원을 확대시켜 전력설비의 증설부담을 완화하고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기연구원(원장 박경엽)은 최근 전력설비통신 인터페이스 국제표준인 IEC 61850 규격이 적용된 태양광발전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국내 최초로 구현한데 이어 분산전원을 ‘플러그 앤 플레이(PnP)’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전기연구원 스마트배전연구센터 자체사업인 ‘IEC 61850 기반 분산전원 인터페이스 기술개발’ 과제 수행으로 개발됐다. IEC 61850은 스마트그리드의 다양한 영역인 전력생산·송전·배전·태양광·풍력·전기자동차·저장 등에서 사용되는 지능형 전자장치의 통신을 위한 핵심 국제표준.

현재 전력설비의 인터페이스 규격으로서 IEC 61850 표준을 적용하는 관련 규격·규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IEC 61850은 매우 방대하고 복잡해 분산전원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이를 분석하고 구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전기연구원 연구팀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분산전원을 생산하는 기업이 국제적인 표준을 요구하는 여러 환경과 조건에서 분산전원을 손쉽게 상위 시스템과 접속토록 하는 이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

특히 전기연구원 측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분산전원이 IEC 61850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서버나 클라이언트들과 정보교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분산전원과의 접속은 직렬(serial) 통신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분산전원이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에 맞춰서 주문 제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뿐만 아니라 이 기술은 분산전원의 접속·운전 등을 비롯해 전체 분산전원시스템의 재구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PnP)’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재덕 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분산전원 인터페이스는 우선 태양광발전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됐으며 현재 마이크로그리드 테스트베드에 연계한 실증운전 중”이라면서 “앞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분산전원의 데이터 모델을 변경해 풍력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산전원의 인터페이스로 적용이 가능하며 분산전원 보급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전기연구원 스마트배전연구센터는 현재 자체 보유한 실증시험장에서 개발된 IEC 61850 인터페이스를 상용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적용해 그 성능을 실증하고 있다.


<용어설명>

IEC 61850 표준은 변전소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력설비 간의 정보교환과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마련된 국제통신표준으로 점차 그 적용범위가 확대돼 분산전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력설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국제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는 꽂아서 바로 사용한다는 뜻으로 어떤 시스템에 주변기기를 추가할 때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