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시대! 물 만난 스마트그리드 미래 가늠
창조경제시대! 물 만난 스마트그리드 미래 가늠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3.09.21 13: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지 주최·주관 제3회 전력산업/스마트그리드 컨퍼런스 성료
스마트그리드정책방향과 新 비즈니스모델 논의 장으로 꾸며져

[에너지타임즈 김진철 기자] 현 정부의 정책기조인 창조경제에 부합하는 스마트그리드의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장이 마련됐다.

본지는 최근 불거진 전력수급난 등 전력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미래 전력산업의 핵심이 될 스마트그리드의 정책방향과 보급 확산의 구심점이 될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논의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도움을 얻어 지난 13일 엘타워(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제3회 전력산업/스마트그리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스마트그리드가 융·복합을 중심으로 한 현 정권 정책기조인 창조경제에 부합함에 따라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그리드 보급 확산에 필요한 정부의 관련 제도개선방향과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모색해 볼 수 있는 논의의 장으로 꾸며졌다.

특히 이 자리는 정부정책을 중심으로 스마트그리드정책 방향을 면밀히 짚어보는 동시에 지난 5년 간 추진된 스마트그리드정책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는 등 스마트그리드 보급 확산에 필요한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장으로 이뤄졌다.

이날 김현재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우리 정부는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활성화 방안과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추진계획, 지능형수요관리서비스 육성방안, 스마트미터 전환계획 등 스마트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핵심정책을 수립한데 이어 시행할 계획”이라면서 “오늘 이 자리는 현재 전력산업이 직면한 과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좋은 방안이 제안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는 ‘창조경제시대! 전력산업과 스마트그리드’란 주제로 그 동안 추진된 스마트그리드정책을 재조명하는 동시에 바람직한 전력산업의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총 3개 세션으로 꾸며졌다.


<세션Ⅰ-스마트그리드 활성화방안>

김진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그리드팀장은 현 정부의 정책기조인 창조경제에 맞는 스마트그리드 관련 앞으로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주제발표에 나선다.

김 팀장은 그 동안 스마트그리드실증사업과 특별법 제정, 기본계획 수립 등 사업기반은 어느 정도 마련됐으나 사업화 부진 등 민간투자활성화는 지체됐다고 진단했다. 다만 현 정부 들어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관심 증대로 사업 여건이 성숙되고 있음을 소개했다.

이어 그는 스마트그리드정책이 전기요금제도와 전력시장 등 민감한 이슈에 매몰되지 않고 추진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 ▲스마트기기 보급 ▲지능형수요관리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등 핵심과제에 대한 성과를 가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김 팀장은 지능형검침기기(AMI)를 기본인프라,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스마트그리드 선발투수, 지능형수요관리(DR)를 스마트그리드 생태계 등으로 정의내리기도 했다.

김홍두 제주특별자치도 스마트그리드 과장은 스마트그리드 확산의 새로운 모델로 ‘G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을 제시했다.

김 과장은 당장 내년 관광시설과 중문관광단지 내 스마트그리드를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제주특별법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제주 전역을 전기자동차와 신재생에너지 연계한 모델을 구현, 2017년부터 스마트그리드·전기자동차·신재생에너지 등 Garbon Free Island 제주 실현을 위한 인프라를 조성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황우현 한국전력공사 SG사업처 부처장은 스마트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성공요소를 소개했다.

황 부처장은 정부에서 맡아야 할 성공요소로 규제를 제정하고 예산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또 한전은 전력망운영을 보다 지능화시키고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기업은 신기술개발활성화와 국내외 시장 개척, 소비자는 전력소비절감과 생활편익향상 등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때 스마트그리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세션Ⅱ-바람직한 전력시장의 발전방향>

조영탁 한밭대학교 교수는 두 번째 세션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서 전력수급위기와 전력설비분산에 대한 주제발표에 나섰다.

조 교수는 현재 전력수급난을 전력수요예측의 오류나 원전비리 등에 기인하는 형상적 위기와 전통적인 전력수급체제에 기인하는 잠재적인 위기에서 왔다고 진단했다. 특히 잠재적 위기는 전기요금체제 왜곡으로 인한 전력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와 장거리 송전망체제를 손꼽았다.

이어 그는 계통위기 극복과 전력수급체제의 안정화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력수요의 연착륙을 위한 에너지세제와 전기요금체제의 개혁, 전통적인 전력수급체제와 분산형 체제간의 보완 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조 교수는 설비분산과 분산형 전원보급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김용완 전력거래소 전력시장처장은 수요관리의 편익으로 ▲참여자 경제적 편익 ▲전력시장 효율성 향상 ▲전력계통운영 신뢰도 확보 ▲기후변화대응 등을 손꼽았다.

김 처장은 현행 수요관리제도의 문제점으로 비상시 전력수급안정을 위한 제도만 운영하고 유사한 제도를 전력거래소와 한전이 동시에 운영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어 그는 수요자원의 전력시장거래(안)로 ▲의무참여제도 형태의 신뢰성 지능형수요관리서비스 운영 ▲자율적 참여제도 형태의 경제적 지능형수요관리서비스 운영 ▲계통한계가격(SMP) 수준의 보상수준 등을 소개했다.


<세션Ⅲ-ESS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모델>

마지막 세션은 스마트그리드 핵심 하드웨어가 될 에너지저장장치(ESS) 육성정책을 비롯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모색해 보는 장으로 꾸며졌다.

진창수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저장장치PD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전력망에 널리 활용될 수 있고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담은 에너지저장장치 산업화전략인 ‘K-ESS 2020’을 소개했다.

진 PD는 전략방향으로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선제·전략적 연구개발추진 ▲에너지저장실증을 통한 산업화 촉진 ▲산업인프라 구축, 전략과제로 ▲에너지저장장치 연구개발 투자확대 ▲에너지저장장치실증을 통한 산업화 촉진 ▲에너지저장장치 산업 인프라 구축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 등을 각각 제시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저장장치 보급촉진 방안으로 2013년 10만kW, 2014년 15만kW, 2015년 25만kW, 2016년 30만kW, 2017년 30만kW를 각각 보급하는 등 오는 2020년이면 누적 보급용량이 200만kW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위규 산업부 에너지과 사무관은 에너지저장장치 등 스마트그리드를 활용한 수요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이와 관련된 파생산업을 제시했다.

박 사무관은 먼저 수요 견인형 공공부문의 에너지저장장치 초기시장을 창출하고 민간부문 에너지저장장치 단계적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또 발전·송배전용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관련 전력계통용 에너지저장장치 보급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분산형 전원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그는 에너지저장장치 보급여건 조성과 관련 피크이전을 위한 전기요금제도를 운영하고 금융·세제지원 등 인센티브 지원 확대, 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확산, 에너지저장장치 설치·관리를 위한 종합지원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문승일 서울대학교 교수는 최근 에너지저장장치 관련 수행한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확대에 따른 비즈니스모델과 보급에 따른 기대효과를 전망할 계획이다.

먼저 문 교수는 에너지수급문제와 환경문제, 기후변화문제 등 그 동안의 방법으로 해법이 없다면서 그 동안 공급위주의 정책에서 수요중심의 정책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양수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다며 전기자동차도 밤에 충전하고 낮에 방전하도록 하면 양수발전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면서 이뿐만 아니라 화력발전소나 비상발전기 등도 대체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특히 문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보급을 확대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산업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에너지저장장치의 필요성을 어필했다.

이어 문 교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활성화를 위해 ▲발전기로 인정하도록 관련 법규 개정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하도록 관련 법규 개정 ▲전력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 개정 ▲신재생에너지의무화제도(RPS)로 인정하도록 관련 법규 개정 등의 정책을 제안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