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열병합발전! 9.15 정전사태 반면교사 삼아 부흥시켜야
자가열병합발전! 9.15 정전사태 반면교사 삼아 부흥시켜야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2.03.16 16: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火電 대비 효율 2배나 높지만 에너지가격 왜곡으로 경제성 실추
kW당 45만원 편익비용 발생…부정적 이미지 탈피 정부지원 절실
[에너지타임즈 김진철 기자] 자가열병합발전이 9.15 대규모 정전사태 이후 국가적인 에너지정책에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에어컨과 전기용 난방기기 등의 보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하계와 동계에 나타나는 급격한 전력수요곡선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정전사태 당시 자가열병합발전(舊 소형열병합발전)을 설치했던 코엑스 등 대형빌딩과 개포동 우성아파트, 대치동 선경아파트 등 대규모 수용단지의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열병합발전은 발전연료를 투입, 1차로 전기를 생산한 뒤 2차로 이 과정에서 발생한 배열을 회수해 냉난방과 급탕에 활용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이미 검증된 고효율에너지이용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에너지기술보급정책과 에너지요금체계 등에 의거 경쟁력이 좌우되는 수요자 선택형 기술보급모델의 특성을 갖고 있다.

자가열병합발전은 화력발전설비(유연탄 기준)의 열효율인 35∼40%보다 2배가량 높은 75∼85%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송배전설비 설치비용과 송전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겪는 고질적인 에너지문제인 하절기 전력부하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동고하저의 LNG수요패턴 등을 개선할 수 있다.

김용하 인천대학교 교수는 국가적인 측면에서 발전소 건설회피비용을 비롯해 송전손실(4%)과 지역난방손실(15%), 이산화탄소 저감비용 등을 고려할 때 kW당 약 45만 원의 편익비용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에너지관리공단도 경기도 지역의 공동주택 931세대를 분석한 결과 기존 난방방식대비 에너지비용을 14%가량 절감할 수 있다 밝혔다.

자가열병합발전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면서 지난 2004년 자가열병합발전 보급률이 94%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에너지가격의 왜곡 등을 비롯해 무관심한 정부, 엇갈린 정부정책 등의 여파로 2005년 보급률 70%, 2006년 19%, 2007년 18%, 2008년 8% 수준으로 급격히 하락했다. 심지어 정부는 자가열병합발전의 보급계획을 당초 2017년 270만kW에서 2019년 218만kW로 전면 하향조정했다.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자가열병합발전의 보급률이 급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에너지가격 왜곡.
현재 사용가능한 자가열병합발전 연료는 LNG. LNG는 국제유가와 환율 등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있어 발전단가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반면 교차보조 등 저평가된 전기요금은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했다. 그 결과 고객은 자가열병합발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키워갔다.

관련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자가열병합발전의 경제성이 에너지가격으로 왜곡되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키웠고 그 결과 보급률이 급감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됐다”면서 “이에 더해 정부의 무관심으로 기술개발 등이 늦어지면서 시장이 거의 휴면상태에 직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가장 급선무는 자가열병합발전의 왜곡된 경제성을 회복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부처 간 엇갈린 정부정책도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에너지절감효과와 에너지효율이 높은 자가열병합발전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반면 에너지공급시스템을 다루는 지식경제부는 관련법으로 가로막는다고 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현재 자가열병합발전이 들어설 수 있는 곳은 재건축·재개발아파트 등이 대표적이지만 이들 고객은 사실상 ESCO지원을 받을 수 없다. ESCO지원을 받게 되면 분납으로 부담해야 하는데 재개발조합이 고객으로 부담을 전가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택지개발 등 신도시조성지역은 집단에너지 공급지역 내에서 열 생산이 가능한 설비를 설치할 수 없다는 제도적 기반에 가로막혀 사실상 진출이 불가능하다. 허가를 받으면 진출이 가능하지만 비공식적으로 고시지역 내 사업자와 협의를 거쳐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했다.

도시가스사 한 관계자는 “자가열병합발전 영업을 하다보면 정작 에너지공급시스템을 다루는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에서 관련법으로 가로 막는 것이 안타깝다”면서 “실제로 공급권역 내 자가열병합발전을 선택하기 원하는 시행회사나 건설회사가 적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도시가스회사는 소규모의 자본으로 전력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아이템”이라면서 “자가열병합발전을 기본으로 한 스마트그리드와 연계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발행한 ‘온실가스감축기술전략로드맵’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된 자가열병합발전은 지난 2003년 기준 전체 발전설비 중 7%인 235GW. 연간 8.86%의 성장률을 보여 오는 2025년까지 1443GW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용하 교수는 앞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일정규모 이상의 공동주택 설치 의무화가 시행될 경우 32평 기준 500세대 이상이면 5년 내 투자비회수가 가능하다”면서 “수도권 보금자리와 재개발 예정지 등 52만3000세대에 자가열병합발전을 설치할 경우 52만3000kW의 예비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