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고효율기기 보급, 세심한 배려 필요해
<기자의눈> 고효율기기 보급, 세심한 배려 필요해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2.01.27 21:2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즘은 발길 닿는 곳마다 절전을 강조하는 포스터나 경고문을 찾아볼 수 있다. 이뿐인가. 규모가 크다 싶은 빌딩 안내방송은 하루에도 몇 번씩 절전을 하지 못하면 과태료를 물어야 하니 협조해 달라고 한다.

시민단체는 적정온도를 준수하지 않은 사업장이나 빌딩 등을 신고하라면서 온도계와 수첩을 나눠준다. 건물이나 화장실 등의 게시판마다 붙어 있던 명언은 간데없고 절전을 강조하는 명언 아닌 명언이 나부낀다.

가끔 술자리에서 만난 지인들은 농담 삼아 정부의 허락 없이 전기를 사용하다 벌금형을 받거나 형무소에 가는 것 아니냐고 낄낄대기도 한다.

전기는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보급됐고 그에 발맞춰 전기제품들이 발전을 거듭해왔다. 다소 억지스런 부분도 있지만 정부에서 요구하는 절전을 거꾸로 보면 인간의 윤택한 삶을 포기하라는 것과 같다. 죽지 않을 정도만 전기를 사용하라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그건 아니라 생각한다.

최소의 전기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고효율기기 사용이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말이다. 정부는 노력을 하고 있다지만 우리나라 고효율기기 보급률은 그야말로 낙제수준이다.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이 고효율기기 보급 등으로 원전 1기에 버금가는 전기를 서울에서만 줄여보겠다고 선언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확인된 바 없다. 단순계산만으로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무조건 교체한다고 가능할까.

최근 고효율기기로 주목받는 LED조명의 경우 높은 가격 탓에 경제성이 문제였다. 그러나 최근 조명연구원에서 추진한 용역결과를 살펴보면 조명의 형태와 환경 등에 따라 투자회수기간이 1년부터 40년까지 다양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신중을 기해야 함을 의미한다.

투자회수기간이 짧은 제품이 우선 보급되는 건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보면 청사의 모든 조명을 LED조명으로 교체했다면서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기도 한다. 조명의 형태로만으로도 수백, 수천가지에 이르는데 무조건 LED조명은 효율이 높을까란 생각이 든다.

또 검증되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량제품을 두고 당초 기대와 달리 효율이 나오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투자를 고려하던 사용자는 투자를 포기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원인은 조명시장이 좁다보니 정부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탓이 크다. 특히 검증되지 않은 제품에 대한 방치가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다. 무조건 보급하고 보자는 식의 정부정책도 이 상황을 뒷받침하고 있다.

LED조명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고효율기기는 품목별로만 구분해도 너무나 많다. 하나하나를 두고 보면 시장은 너무나 좁다. 하지만 물방울이 최후에는 큰 바다가 되듯 정부의 절전정책도 작은 것 하나부터 세심히 챙겨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