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풍력발전 지원 정책 강한 드라이브 필요해
<기고> 풍력발전 지원 정책 강한 드라이브 필요해
  • 에너지타임즈
  • webmaster@energytimes.kr
  • 승인 2011.08.05 09: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호 전력거래소 국제정보통계팀 부장

지난해와 올해 초 전 세계 에너지 업계에 컨 충격을 가져다 준 사고를 든다면 단연 동일본의 대지진, 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노심용융사고와 멕시코 만의 석유생산시설 대량 누출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비록 지구촌의 커다란 재앙이지만 한편으로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 보급해야 한다는 세계적인 공감대를 가져다 준 계기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지정학적인 영향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대량 공급할 수 없는 곳이 있고, 또한 전력의 안정적 공급 확보를 위해서는 대규모의 원전이 필요한 것도 사실하다.

이러한 가운데 세계풍력에너지협회(WWEA)가 발표한 ‘2010년 풍력발전 현황과 전망’은 국내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주목할 만하다.

세계의 풍력발전 설비의 총용량은 2010년 12월말 기준으로 1억9704만kW가 됐다. 2009년의 1억5891만kW에서 24% 증가한 수치이다.

2010년 1년간의 신규로 증가된 설비 용량은 총 3827만kW로, 전년도의 3879만kW에 비하면 약간 둔화되었지만 최근 10년 동안 10배로 증가한 수치이다.

2009년 대비 풍력설비 증가율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1893만kW의 1위로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2위는 미국으로 560만kW를 신설했다. 이어서 독일, 스페인,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풍력 발전량으로는 2010년 전 세계에 총 4300억kWh(2010년 한국 전체 발전량과 거의 동일)로, 이는 전 세계 전력소비량의 2.5%에 해당하며, 세계 6위 경제력을 가지는 영국 전체의 수요를 넘어서는 량이다.

2010년말 누계 설비 용량은 10년간에 11배로 확대되었는데, 1위가 중국으로 전체의 22.7%에 상당하는 4473만kW의 설비를 보유하고 있고, 2위가 미국으로 4018만kW, 전체의 20.4%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는 독일 2272만kW, 스페인 2068만kW, 인도,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캐나다의 순으로 상위 10개국이 전체의 86.4%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38만kW로 세계 29위 수준이다.

지역별의 설치 용량에서는 동유럽의 큰 폭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서유럽의 포화상태로 인해 유럽 전체는 다소 정체상태에 도달하고 있는 모습이고, 북미는 보조금 지급 연장 여부의 미결정으로 2010년의 설치 용량이 전년대비 다소 감소한 가운데, 아시아는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향후의 누적 설치 전망으로는 2011년에는 약 2억4000만kW, 2015년에는 6억kW, 2020년에는 15억kW에 달하는 등 풍력발전 설비는 향후에도 아시아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증가할 전망이다.

우리와 전원공급 설비 구조가 비슷한 일본의 예를 보면, 누계 설치 용량은 230만kW로 세계에서 12위이나 환경성 조사에 의하면, 풍력발전 도입 가능량이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시행예정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FIT제도(고정가격 매입제도, 혹은 발전차액제도)도입 시, 풍력만 최대 1억4000kW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더구나 일본의 경우는 칸 수상이 지난 7월 기자회견에서 원자력을 단계적으로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대안으로 기존의 2030년까지 태양광 5300만kW 개발 계획을 포함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고, 동시에 저탄소 신재생에너지 기술로 세계를 리드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상풍력의 경우는 세계 총 312만kW의 설비용량 가운데 영국이 최대 규모의 134만kW를 보유하고 있고, 이어서 덴마크 85만kW, 네델란드 25만kW, 벨기에 20만kW, 스웨덴 16만kW, 중국 13만kW, 독일 11만kW, 핀란드 3만kW, 아일랜드 2.5만kW, 일본 1.6만kW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비해 국내의 해상풍력의 경우는 전남 해안을 중심으로 대규모 개발계획은 발표돼있으나 시행 제도 측면이나 투자자금 확보 어려움 등으로 계획대로 시행될지는 불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지구적인 재앙을 피하기 위한 온난화 방지차원에서 CO2 감축이라는 세계적인 흐름은 역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는 국내실정에 맞는 원자력 등의 대용량 기저전원 개발과 동시에 저탄소발전 기술 육성을 통한 에너지기술 혁신으로 산업·수출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먼저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나가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