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머니 담보로 한 중동경제성장…전력시장도 덩달아 ‘活況’
오일머니 담보로 한 중동경제성장…전력시장도 덩달아 ‘活況’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1.07.21 21:3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앞으로 10년간 5%내외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인구성장률 등으로 2030년 전력수요 연평균 4.2% 증가
[에너지타임즈 김진철 기자] 중동지역이 세계 전력시장 중 가장 눈에 띄는 노다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세계 금융위기 속에서도 중동경제는 앞으로 10년간 5%내외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고, 전력수요도 평행선을 달리면서 대규모 신규 전력설비가 건설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9년 기준 MENA(Middele East and North Africa, 중동·북아프리카지역)지역 주요 13개 국가 전력소비량은 2005년 대비 25.5% 증가, GCC(Gulf Cooperation Council, 페르시아만안 협력회의) 6개 국가는 30.4%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UAE는 58.5%의 전력소비 증가율을 보여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카타르는 45.8%에 달하는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중동지역은 연평균 2.8%에 달하는 인구성장률과 지속적인 산업화 등에 힘입어 전력수요도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4.2%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덩달아 이들 지역의 전력시장도 활황(活況)을 탈 것으로 관측됐다.

최근 우리나라 발전사업자나 전력기자재 기업들이 중동지역을 겨냥, 잇따라 수주하는 이유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지칠 줄 모르는 중동경제 성장세

중동경제는 세계적인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칠 줄 모르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 10년간 5%내외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앞으로 10년 간 중동 산유국이 석유를 수출하면서 유입될 자금이 10조 달러에 달하고, 현재 중동지역 GDP의 5.3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경제성장의 재원이 충분한 탓이다.

지난 2010년 중동지역은 다수의 프로젝트 발주에도 불구하고 대형 프로젝트가 일부 지연되거나 취소됐으나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파생된 부동산시장 침체는 정부 주도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올해도 지속적으로 발주할 것으로 분석됐다.

중동지역 중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 발주가 두드러질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 2010년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주한 프로젝트 낙찰규모는 2009년 570억 달러 대비 다소 감소한 430억 달러. UAE보다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

반면 2010년 오만·카타르·쿠웨이트 프로젝트 낙찰규모는 다소 증가함에 따라 다소 예의주시가 필요한 곳이다. 쿠웨이트는 5개년 경제개발계획을 통과시킴에 따라 프로젝트 발주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MENA지역은 민간부문 위축이 예상되지만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해 경제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집트는 견실한 국내 수요와 자본유입으로 2010년부터 2011년 경제성장률이 5%정도를 유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가장 주목받는 전력시장 ‘사우디’
IPP 사례 다수…금융조달이 변수

중동지역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전력수요도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9년 기준 MENA지역 주요 13개 국가 전력소비량은 2005년 대비 25.5%가량 증가했다. GCC지역 6개 국가는 30.4%에 달하는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전력소비량이 증가한 배경에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특히 연평균 2.8%에 달하는 인구성장률과 지속적인 산업화로 인해 중동지역의 전력수요는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4.2%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고, 덩달아 전력시장도 호황을 누릴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09년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전력소비량 증가율은 14%. 전 세계적으로 1.7%의 전력소비량 감소세에 비하면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전력예비율이 7.4%로 안정적인 수준의 전력예비율이 10∼15%임을 감안할 때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판단됐다.

GCC국가 중 UAE 아부다비의 전력수요대비 공급이 가장 원활한 것으로 알려졌고, 오는 2020년도 전력소비는 지금의 2.8배에 달하는 14.7GW의 전력설비를 추가로 건설해야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10년간 가장 큰 전력시장은 사우디아라비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오는 2020년까지 40GW의 추가 전력설비가 필요한 실정이며, 전력설비 인프라에 투입될 비용도 480억 달러에 달한다.

14년이 지난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구는 지금의 두 배 수준인 5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고, 추가 전력설비도 2배 이상인 80∼90GW 규모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오는 2019년까지 34건의 프로젝트 발주가 계획 중이며, 21GW 규모의 전력설비 증설이 계획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지역 중 전력부족이 가장 심각한 국가는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22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한 나라로 오는 2020년까지 지금의 전력설비용량의 1.8배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라크는 지난 2010년 12월 IPP(민자발전사업)를 포함한 전력 마스터플랜을 공개한 바 있다. 이 플랜에 따르면 오는 2015년부터 15년간 290억 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중동지역의 전력시장은 정부 주도보다 민간주도의 IPP사업으로 진행되는 사례가 많으나 실질적인 사업여부는 전력수요보다 금융조달과 더 관련이 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은행들은 위험 회피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민간사업에 대한 정부의 보증을 요구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과 같이 정부 재정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국가에만 재원이 몰리고 있을 뿐 인근 여타 국가들은 제대로 된 파이낸싱이 이뤄지기 힘든 것으로 분석됐다.


산유국도 관심 갖는 ‘원전’

일본 원전사고 이후 세계 원전시장이 다소 주춤하지만 중동지역도 앞서 원전 르네상스 바람이 불었다.
지난 2009년 12월 우리나라도 UAE원전을 수추하면서 원전수출국 대열에 오르게 한 장본인이다.

중동지역 중 UAE가 원전사업을 최초로 진입, 주변국가에 확산시켰다. 바레인은 지난 2010년 4월 원전기술 컨설턴트 참여의향서를 발급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원전 건설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쿠웨이트는 오는 2020년까지 100만kW급 원전 2기를 가동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앞으로 2기를 더 추가하는 방안까지 구상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와 오만도 원전 건설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었다.

요르단은 7만 톤에 달하는 우라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30년간 4기의 원전을 건설할 계획을 세운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