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발표된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전력수요가 오는 2016년까지 연평균 3.7%, 2017년 이후부터는 1.1% 이하로 증가율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전력설비의 신규투자가 줄어든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지난 1980년대 산업화와 2차례에 걸친 오일쇼크를 거치면서 전력수요는 증가했고, 그 결과 발전전원은 기존 수력과 중유발전소에서 원전과 석탄화력, LNG복합화력 등으로 다양화됐다. 송·배전설비도 인프라 개념으로 집중 투자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시장도 팽배해졌다.
이후 전력수요 증가가 안정세를 찾았고, 전력설비에 대한 인프라가 갖춰지면서 사실상 국내 전력산업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국내 전력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었다는 뜻이다. 발전설비도 마찬가지겠지만 송·배전사업도 정비나 증설 등으로 사업이 한정됐고, 일자리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물론 전력시장도 위축됐다.
이 같은 우려는 일찍이 전력산업업계를 중심으로 제기돼 왔다. 일거리가 없으니 전력 관련 기업의 공장은 가뭄에 콩 나듯 가동되고 전기공사 전문기술자들은 업종을 바꾸는 등 재투자와 전문성이 떨어지는 추세다. 그럼으로 인해 전력업계의 발전은 기약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전력업계 전문가들은 신규시장을 해외에서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근 언론지상을 통해 건설회사가 발전소 건설, 중공업회사가 주요 전력설비 납품, 발전회사가 발전소 운영·정비 등을 수주했다는 보도가 연일 끊이지 않고 있다. 바람직한 현상이다. 국내서 갈고 닦은 기술을 해외에 적용, 시장을 확보하는 동시에 외화까지 벌어들이니 일거양득(一擧兩得)이다.
다만 대기업에 비해 중견·중소기업의 해외사업 실적은 초라하다. 대기업의 실적에 비하면 거의 전무하다는 표현이 맞다. 보통 대기업이 해외사업을 추진하게 되면 주요 기자재를 제외한 기타 기자재나 전문 인력을 현지에서 조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다보니 중견·중소기업의 역할을 축소됐다. 그 결과 대기업의 사업영역은 확장된 반면 중견·중소기업의 영역은 현상 유지나 하락 추세다.
지난 5일 정부는 국내 전력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구심점이 될 민관 협의회를 발족시키고 첫 회의를 개최한 자리에서 전방위 지원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그런데 대책을 살펴보니 결국 대형 프로젝트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번에도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대책은 너무나 미약하다.
전력산업은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보통 대형 프로젝트 중 하나다. 대기업도 해외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선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 하물며 중견·중소기업은 오죽할까. 정부의 도움과 대기업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뜻이다.
균형 잡힌 성장이 완성된 전력산업으로 갈수 있는 지름길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