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풍력발전 국내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칼럼> 풍력발전 국내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 에너지타임즈
  • webmaster@energytimes.kr
  • 승인 2011.01.07 19: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승호 교수(광운대 전기공학과)

풍력발전은 세계적으로 가장 경제성이 높은 신재생에너지원으로 2010년 현재 누적 설치용량 200GW에서 2030년 1800GW로 약 9배의 증가가 예상되며 전력생산량도 2010년 435TWh에서 2030년 4360TWh로 약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밝은 전망과 함께 향후 풍력발전의 시장규모가 약 수조 원으로 늘어나서 조선 산업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풍력발전 산업을 제2의 조선 산업으로 육성해 주요 수출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을 세워두고 있다.

특히 유니슨 효성 한진산업 현대로템 등 기존에 풍력발전에 참여한 기업들뿐만 아니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STX중공업 등 조선업분야 주요 회사들이 모두 풍력터빈 생산자로 뛰어들었고 일부 기업들은 이미 신규 모델 개발의 한 주기를 마치고 제품 양산을 위한 준비를 거의 마친 상태이다.

이러한 현 시점이야말로 국내의 풍력발전시장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정책적인 판단과 집중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본다.

하루 빨리 수백 MW 이상의 규모로 국내시장을 만들어야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도 달성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CO₂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국내 시장을 발판으로 국내기업들이 세계의 풍력발전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 이러한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자본의 투자가 필요하며 결국 이러한 사업으로 수익을 낼 수 있어야 한다. 즉 저비용으로 높은 생산량을 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초기에는 국산 풍력터빈을 사용하는 것에 여러 가지 불확실성 요인이 존재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국산화된 풍력터빈을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인 이득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초기 위험요인을 줄이고 활발한 투자가 일어날 수 있도록 정부는 확실하고도 지속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국내 시장형성을 위한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중요하게 고려돼야 한다.

첫 번째로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춘 대규모 풍력발전 부지 물색 작업에 정부가 앞장서야 할 것이다. 풍황 자원의 체계적인 조사와 주민 협조 체계의 구축, 전력 전송 및 기자재 수송을 위한 인프라 확충 등은 시급하고도 결정적인 문제들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여부에 따라 국내 시장의 규모는 획기적으로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 번째로 국산 풍력발전시스템의 대규모 생산을 위한 투자시점과 정부의 시장 확대 전략의 시점이 서로 맞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의 흐름을 정확하고 빠르게 읽어낼 수 있는 안목을 필요로 한다.

국산 터빈의 기술적인 신뢰도 검증 및 인증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아직까지 국산 풍력 터빈이 시장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이러한 작업이야 말로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건전하고 실력 있는 풍력발전 단지 개발자를 육성해야 한다. 경험과 능력을 갖춘 기업체를 다수 육성하는 것이 대규모 시장을 육성하고 수출 산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주춧돌이 될 것이다.

특히 발전 자회사를 비롯한 RPS 주관 기관을 중심으로 전문 인력을 확충하고 초기 위험부담의 일부를 정부가 공동으로 책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장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 중에 하나로서 전력선 연계 비용의 저감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해상 풍력단지 건설의 경우 전력선 연계 비용의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풍력발전의 사업성이 단지 건설 및 전력선 연계비용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향후 풍력발전의 비중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풍력을 비롯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전원의 수용 용량 확대를 위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대규모 풍력단지 건설을 위한 전력선 연계 인프라 구축비용도 선제적으로 정부가 부담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 주사위는 던져졌다. 민간 기업의 투자와 정부의 정책이 하나가 되어 녹색 성장의 큰 이정표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